임실 등 전북에서 학업성취도 평가 성적이 조작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이같은 사례가 전국적으로 벌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채점이 각 단위학교 별로 진행돼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진행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과연 학생들의 '실력'으로 인정 할 수 있겠냐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으며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 19일 최규호 전북교육감은 "교육과학기술부에 보고할 당시 기초 학력 미달자가 3명이었으나, 표집학교 1개교를 제외한 14개 학교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총 8명의 미달자가 있었다"고 조작사실을 시인했다. '공교육의 힘'으로 알려졌던 임실이 성적조작을 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학업성취도 평가의 신뢰도에는 치명타가 됐다. 그러나 성적조작이 드러나면서 사실상 이번 학업성취도 평가는 '하나마나'한 시험이 됐다는 지적이 많다. 성적이 조작된 사례가 전국적으로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학업성취도 평가는 사상 최초로 실시된 전국단위 평가였지만 채점이 전국 단위로 이뤄지지 않고 단위 학교별로 진행돼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했다. 이번 시험은 전국의 5% 학생만 평가원이, 나머지는 각 학교와 지역교육청이 채점을 맡았다. 이번 평가의 시험 문제 가운데는 주관식이 다수 포함돼 채점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도 많았다. 결국 일부 일선 교사들과 교원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가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학력격차 해소 및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한 교육정책 수립을 위해' 학업성취도 평가를 강행했던 교육당국의 논리가 무색하게 됐다. 진보신당 송경원 정책연구원은 "임실군의 성적조작은 학교 채점 및 보고라는 현행 방식의 문제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교육과정평가원이 수거해서 채점을 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