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의회는 지난 17일 오전10시부터 의회 본회의장에서 신현국 문경시장을 비롯한 각 실과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틀간의 일정으로 제126회 문경시의회 임시회를 개회했다.
고오환 의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첫 본회의에서 정책기획단이 보고한 영상문화관광 복합단지 조성사업에 관련한 시의원들의 집중적인 질문공세가 쏟아졌다.
지난 2007년 양해각서 및 기본협약을 체결한 이 사업은 문경읍 새재지구, 마성 하내지구, 가은지구 등 3개 지구로 나눠 영상문화지원 단지, 영상문화 휴양단지, 영상문화산업단지의 세 가지 테마로 조성될 계획으로 총 사업비 2조6,000억 원에서 2조원이 줄어든 6,000억 원이 투자될 예정이라는 시관계자의 보고가 발단이 됐다.
탁대학·유기오의원은“당초 2조 6,000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라고 시민들에게 홍보를 했는데 사업비가 6,000억 원으로 축소된 까닭이 무엇이냐”는 질문과 “새재지구가 첫 번째 개발지역이라고 하는데 현재 부지 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토지를 기반으로 토목과 건축 설계를 한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 며 강하게 비난했다.
김대일 의원은 양해각서를 체결할 때는 물론 기본협약서를 체결할 때도 의회와 상의 한마디 없이 체결 했는데 협약서 내용들이 시의 각 실과의 협의와 법적효력 부분에 대한 검토가 있었냐고 반문하고“천문학적 사업비가 투자되는 중요사업에 의회와 상의 없이 협약을 체결해 나중에 법적인 소송이 일어나면 그 탓을 의회로 돌릴 것이냐”며 질타했다.
이상익 의원도 “영상문화복합단지 조성사업 건은 지난해만 해도 몇 차례 보고와 의안상정이 있었다. 하지만 모든 의원들이 지금과 똑같은 이유로 반대하고 새재지구 부지를 변경하라는 요구를 한바 있다” 며“해가 바뀌어도 집행부의 보고는 변함이 없고 같은 이야기와 상황의 반복되고 있다” 고 했다.
이런 시 의원들의 질타속에 시 관계자는“앞으로 민자사업 시행자 선정과 앞서 미흡했던 행정적 부분 보완으로 우려되는 바를 최소화해 사업을 이끌겠다”고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의원들은 집행부의 답변에 대해 설득할 수 있는 충분한 답변을 하지 못했다고 집중추궁 했으며 특히 고 의장은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 내용이 성실하지 못하다고 주의를 촉구하기도 했다.
심호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