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 17번째 확진환자가 대구를 다녀간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과 대구시가 지난 5일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가졌다. 지난 5일 시당 대회의실에서 열린 긴급 간담회에는 대구시당 및 대구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와 경제정책관 등 모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책을 논의했다.이자리에서 황계자 시 사회재난과장은 “대구시에도 우한지역에서 입국한 전수조사 대상이 30명이나 있고 이중 관리중인 사람이 2명, 중국인 유학생도 7개 대학에 1750명”이라며 "반면 초기 대응에 필요한 열화상카메라가 8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이어 부족한 열화상카메라와 마스크, 손소독제 등 방역물자 구입에 필요한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0억원 지원을 건의하고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벌금 상향 필요성을 저적했다.이에 김우철 시당 사무처장은 “질병관리본부 통보 없이도 시가 선제적으로 감염 확산을 차단할 체계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현재 TBN의 2분여 상황보도를 5분 이상 하루 2~3 차례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특별교부세 지원과 관련해선 "카메라 1대당 1억5000만원이 소요되는데 10억원으로 예단하지 말고 대구 전역에 카메라가 몇 대 필요한지 먼저 확인한 다음 그에 맞는 예산을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성임택 경제정책관은 “지역기업 1583개사가 중국으로 15억불 이상 수출하고 있는 가운데 기계자동차 분야 수출비중이 51.6%를 차지한다”며 "중국현지 상황이 조기 개선되지 않을 경우 수입물품 수급차질이 예상되고 무역, 제조업, 관광 등에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김우철 사무처장은 “가시적 피해가 발생하는 무역업종 등 외에도 소비 부진에 따른 피해가 예상되는 재래시장, 요식업, 각종 서비스업 등에 대한 업종별 피해 정도를 파악하고 중소기업이나 영세상인들이 유동성 위기에 처하지 않도록 금융지원 대책을 조속히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