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구의 쓰레기는 내년부터 정부와 영남권 4개 시도가 공동으로 처리한다. 부산시는 낙동강 하구에 떠 밀려 온 쓰레기 처리를 위해 국토해양부, 환경부, 부산, 대구, 경북, 경남 등 정부와 시·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3일 오후3시30분 부산시청 소회의실에서 낙동강유역 쓰레기 책임관리에 관한 협약 서명식을 갖는다고 2일 밝혔다. 이 협약을 통해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4개 시·도는 처리비용 분담률을 환경부 50%, 부산시 25.46%, 대구시 6.17%, 경상북도 8.69%, 경상남도 9.68%씩 부담하기로 했다. 또 쓰레기 책임관리 협의체를 구성해 낙동강하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국토해양부도 낙동강유역 지자체 관리해역에 대한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종전에는 태풍 등으로 떠내려 온 쓰레기에 대해 부산시가 처리비용을 부담하는 바람에 최근 5년 간 쓰레기 수거량이 약 1만2800t에 이르고 처리비용도 27억원이 투입됐다. 부산시는 그동안 예산 부족 등으로 처리하지 못한 쓰레기 일부가 바다로 유입되거나 방치돼 해양오염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고 지적하고 2003년도에는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약 4만2000톤(53억원)을 처리 한 적도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부산시는 "낙동강 하류지역 쓰레기가 대부분 상류와 중류지역에서 흘러드는 데도 하류에 위치한 부산시가 비용을 전담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낙동강 유입쓰레기 처리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들의 공동부담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이번에 공동 책임을 지고 처리키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식에 앞서 국토해양부, 환경부 및 4개 시·도는 2007년 9월 낙동강유역 쓰레기 공동 처리를 위한 ‘책임관리 MOU’를 체결한데 이어 1년간의 실태조사 및 협의회를 거쳐 이번에 최종 합의를 이끌어 냈다. 부산시와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협의회 등을 통해 함께 협력해 나간다면 낙동강 수계와 하구, 그리고 해양으로 유입되는 쓰레기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