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방해양항만청은 울릉도내에서도 비경이 아름다운 서면 태하리에 위치한 태하등대를 이달 말 착공해 2010년 준공예정으로 총사업비 약40억원을 투입. 대대적인 정비보수공사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시행하는 정비공사는 기존 노후화된 등대시설 정비를 통한 선진화된 항로표지시설로 개축, 항로표지기능을 강화하고 오지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된다. 또한 아름다운 자연과 어울러진 상징 조형물인 등대건설과 해양친수공간 확보로 지역관광발전에 일조한다는 계획이다. 울릉도 태하등대는 울릉도 서단의 향나무 군락지인 대풍감 끝자락에 위치하며 대화퇴어장과 육지에서 울릉도로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곳인 동시에 섬지역내에서 오징어 맛이 일품이며 김 등이 특산물로 유명한 지역이다. 예로부터 김(해태)이 많아서 불렸다는 설과 안개가 자욱하다는데서 연유 됐다는 설이 있는 태하마을로 불렸으며 이지역 정상에 위치한 등대는 자연과 억새풀, 기암괴석이 만들어낸 절경지역으로 이 지역에는 황토굴, 성화신당 등 관광자원이 많이 산재되어있는 관광지역이다. 현재 가동 중인 태하등대는 이백색 원형콘크리트 구조로 높이 7.6m이며 1958년 4월 처음 점등된 후 불빛은 25초에 한 번씩 반짝이며 2003년 10월 국내기술로 개발한 프리즘렌즈 회전식 대형등명기로 교체해 50㎞까지 불빛이 전달돼 울릉도 오징어잡이 어선들의 길라잡이 역할을 다하고 있다. 등대를 오르는 등산로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오솔길과 푸른 숲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기암절벽과 풍광이 아름다워서 관광객들의 등산코스로 널리 사랑받고 있으며, 최근 울릉도내에서 관광 모노레일을 설치, 운영 중에 있다. 등대 앞 정상에서 바라보는 현포해안의 절경과 대풍령 해안절벽은 자연경관이 뛰어나 관광객으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며 또한 주변 대풍령 해안절벽에서 꿋꿋히 자생하는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49호로 지정돼 있다. 포항해양청관계자는“앞으로 새로 정비하는 유·무인등대는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관광자원화 일조하며 등대고유기능과 함께 문화친수문화공간으로 활용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준호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