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20일부터 아이돌보미 서비스 지원 사업이 실시되고 있지만 맞벌이 부부에게는 ‘그림의 떡’ 으로 전략하고 있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안동시는 정부 방침대로 1시간을 기준으로 잡을 때 저소득층에게는 1시간당 4000원을 보조하고 나머지 1000원 본인이 부담하며. 저소득층이 아닐 경우 1시간 당 지급되는 5000원을 본인이 부담하는 걸로 나타나 일반 시민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또 안동 YMCA에서 운영하는 육아 도우미(베이비시터)는 하루가 멀다 하고 아이 부모와 약속시간을 지키지 않아 아이돌보미 사업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벌이 부부들은 사설업체와 시간대가 맞지 않아 안동시에서 운영하는 아이 돌 보미 서비스가 생각나 전화를 걸었지만 1시간 당 이용료가 터무니없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포기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처럼 맞벌이 부부에게 출산장려책을 권장하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육아 정책과 그에 따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시행만 하면 시민들이 따라 오겠지 하는 자세는 이제 그만 버려야 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 싶다.
특히 요즈음 육아 문제가 사회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마땅히 해결책을 내놓지 못해 직장 여성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아이 돌 보미 지원 사업’이 저소득층이 아닌 사람들에게 비싼 이용료가 차등이 되는 등 기존 육아 도우미와 중복돼는 사태가 발생해 수요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수요자를 찾지 못하는 이유 중 한 가지가 저소득층 위주로 이용료가 책정되다 보니 일반시민의 경우 비싼 이용료를 지불해야 되기 때문에 ‘아이 돌보미’ 사업이 시민들에게 외면 받고 있다.
주민 박 모(34.안동시 정화동)씨는 “지역 내 저소득층 가정도 많지만 일부가정에서는 좋은 차량과 생활에 만족을 느끼고 살아가는 가정이 많은 반면 옥동에 저소득층을 위해 건립한 주공APT에 가보면 과연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의아할 정도로 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시 관계자에 따르면“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아이돌보미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단지 시는 그에 따른 지원 사업비와 제반 사항만 지원할 뿐 다른 부분은 센터에서 시행할 뿐이라”고 해명했다.
윤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