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2006년부터 지역 내 초·중·고·특수학교 등 각 급 학교의 열악한 교육환경개선 사업을 4년째 시행하고 있지만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시는 지난 2006년부터 올해까지 36억원의 예산으로 교육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교육경비보조금 심의위원들은 각 급 학교에서 제출한 사업계획서와 담당 공무원이 작성한 서류만 가지고 심의만 할 뿐 교육경비보조금을 신청한 학교에 자체조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지방에서는 학교에 지원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학부모를 상대로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시는 교육경비보조금 심의위원에만 의존하고 있어 학부모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시는 각 급 학교 지원대상업은 교육기자재 확충사업, 학교급식시설, 장비 확충, 도서관 활성화 사업, 소규모 냉·난방시설 설치사업 등 명목으로 지원이 이뤄지지만 사업자체가 이러한 부분에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지 의문이다.
또 집행되는 과정에서 처음과 끝이 서류상으로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현장을 중심으로 전혀 실태 파악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특히 시가 추진하고 있는“교육환경개선사업에서 이들 교육주체와의 소통이 거의 이뤄지지 못한 채 지나치게 행정위주의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스러움을 지울 수 없다”고 말하는 주민들이 다반사 이다.
주민 이 모(67)씨는 30년 공직생활 접고 현재 집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장학사업도“부유층 중심의 자녀들만 혜택을 볼 수 있는 제도”라며“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교육혜택에서 배제되면 교육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부추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권 모(50·안동시 안기동)씨에 따르면“자식을 학교에 보내고 있는 실정이만 교육부, 교육청, 시 등 에서 보조금이 지원되고 있지만 항상 주먹구구식으로 예산 집행이 이뤄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동교육청 관계자는“교육부에서 개선사업에 필요한 지원금이 2006년부터 올해까지 100억 원이 넘게 지원해 교육청에서 각 급 학교에 필요한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시에서 4년째 지원하고 있는 교육경비 보조금은 각 급 학교로 직접 전달하고 있어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파악이 어렵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학교교육환경 개선사업이 시에서 4년째 지원되고 있으며 매년 신청을 받아 일정금액을 지원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윤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