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김병수)이 대구시가 시청사 포화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의지가 없다고 비판하며 우선 시청 간부사무실을 직원 사무실로 전환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요구했다. 대구공무원노조는 6일 성명서를 내고 "늘어나는 행정수요와 조직 확대개편으로 시청사 환경이 최악의 상황이지만 대구시는 어려운 경제사정만 들어 부족한 청사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없다"고 비판했다. 조합원들은 성명서에서 "시청 건축면적은 1만9000여㎡으로 부산의 11만6000㎡와 광주 7만1000㎡, 대전 7만8000여㎡ 등 타 광역시에 비해 협소하고 1인당 면적도 14.96㎡정도로 부산의 58.46㎡, 광주의 70.8㎡, 대전의 65.07㎡에 비해 턱없이 작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 환경녹지국 등 산하 조직은 임대사무실로 뿔뿔이 흩어져 '딴살림'을 하느라 행정력 저하와 시민 불편 초래, 직원간 소통부재 및 인사부작용 등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2013 세계에너지총회 등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다양한 행사를 앞두고 글로벌 국제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청사가 이 정도라 내.외국인들의 방문시 느끼는 대구의 이미지 저하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답답하기 그지없는 실정"이라 말했다. "하지만 시 공무원들이 기회때마다 수차 여러 해법을 제시했지만 시와 간부들은 직원들의 마음은 아랑곳하지 않고 어려운 경제사정만 들어 청사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없이 직원들을 실망시키고 시민의 자존심까지 무너뜨리고 있다"고 유감을 표현했다. 또 "당장 6월에 조직 확대개편이 예상되고 또한 시의회로부터는 의회기능 확대를 위한 청사요구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의 의지는 요원함으로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청사문제를 좌시할 수 만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런 열악한 상황에서 간부들만 넓은 사무실을 사용하는 것은 행정관료적 이기주의 병폐로 묵과할 수 없다"며 "직원들과 고충을 분담하고 상하간의 소통을 위해서 실국장실을 직원 사무실로 전환하는 등 특단의 조치와 시행"을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