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선강정비부 제강정비과(과장 김재식)가 최근 2제강공장의 생석회 호퍼 관리체계를 자력으로 구축해 화제가 되고 있다. 제강정비과는 2제강공장의 주요 보조원료인 생석회 지상 호퍼 레벨 관리를 위해 석회소성공장과 2제강공장 PLC간 일정 주기 샘플링 전송방식의 레벨관리 프로그램을 자력으로 구축한 것으로, 호퍼별 레벨관리 범위를 설정해 관리범위 초과시 경보 발생 등으로 생석회 수송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생석회는 제강공정의 정련과정에 필수요소로 제강반응 중 산화환원반응에서 슬래그를 처리하는 용제로서 유해물인 인(P), 황(S)을 제거하며 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석회소성공장에서 소성된 생석회는 컨베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생석회에 포함된 가루생석회를 제거하고 전로 호퍼에 수송 저장 하게 된다. 생석회를 사용하는 2제강공장에서는 가루생석회 저장 호퍼와 생석회 저장 호퍼의 재고량 생석회 수송 시 가루생석회 스크린 장치에서 가루생석회가 정상적으로 제거돼 저장 호퍼로 저장되는지 저장 호퍼가 넘쳐 가루생석회가 제거되지 못하고 그대로 컨베어벨트에 실려 오는 것은 아닌지 지상 호퍼 내의 재고량이 부족해 생석회의 낙차에 의한 파쇄로 가루생석회가 발생하는지 등을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가루생석회가 다량 포함된 생석회가 전로 호퍼까지 수송되어 가루생석회가 다량 함유된 상태로 전로 내 투입 시 가루생석회가 집진기 및 배가스쿨러로 유출되어 생석회 투입량 부족으로 용강 내 인(P) 성분 조성을 위한 투입량 조정을 위한 생석회 재투입으로 생석회 원단위 상승, 냉각수 혼입으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이처럼 관리가 어려운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생석회 저장 호퍼의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2제강으로 수송되는 생석회 내의 가루생석회 함유율을 따라 전로 정련시 생석회 비용이 연간 16억 원의 저감이 예상됨은 물론 가루생석회로 인해 수송 시 발생되는 공장내 생석회 분진오염, 집진기의 효율저하, 수처리 수질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됐다. 배동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