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KTF가 다음달 1일 통합법인 출범을 앞두고 KTF직원을 KT로 파견발령하는 일부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KT는 6일 KTF 직원 280명을 KT 본사와 지원부서 등으로 배치했으며, 통합법인 사업강화를 위해 휴대인터넷사업본부를 컨버전스와이브로사업본부로 개편했다. 또 기업고객부문 내 IDC사업본부를 IMO(Infrastructure Management Outsourcing)사업본부로 확대했다. KTF도 통합에 대비해 이동전화사업을 담당하게 되는 '개인고객부문' 형태로 조직을 정비하고 비즈니스부문 무선인터넷운용실, 고객서비스부문 유통정책실을 신설했다. 아울러 KT는 "인력배치 과정에서 직무별 수평이동을 원칙으로 정했으며, 수평이동이 불가능할 경우 업무와 인력을 유사조직으로 이동하거나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KT-KTF는 임직원들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난달 전사적으로 부서별 합동체육대회를 실시했으며, 이번 직원 파견발령과 조직개편을 통해 합병 시너지를 조기에 달성하고 합병과 동시에 사업추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KT는 고객이 통합법인의 이미지인 '하나된 KT, 변화된 KT'를 부각시키기 위해 양사 콜센터를 통해 유선·무선·결합서비스 상담을 가능케 하는 등 다양한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센터 접속번호는 단계적으로 100번으로 통합된다. 또 합병 KT는 통합과 동시에 결합상품 종류를 더욱 늘릴 계획이다.1인 가구, 소규모 개인사업자, 중소고객을 대상의 결합상품을 개발하고, 요금제 면에서도 정액형, 비통신제휴형 결합상품을 출시한다. 가정용 와이파이(WiFi)폰, PC-모바일-TV 통합 단말 서비스 등도 새롭게 선보인다. 이와 함께 오는 9월까지 고객에게 통합 요금청구서를 제공하고 11월까지 양사 홈페이지와 사이버고객센터를 통합하며 올해 말까지 마일리지를 통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표현명 KT 코퍼레이트 센터장은 “고객 접점에서 ‘하나된 KT, 변화된 KT’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합병 후 통합작업(PMI)을 철저히 추진 중이며, 회사 간의 단순 통합이 아닌 가치를 창출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통합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