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영난을 겪고 있는 제네럴모터스(GM)가 미국 현지에서 한국산 자동차부품 구매상담회를 개최했다. 39개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가 참가한 이번 상담회를 통해 최대 4억달러 갸랑의 수출이 가능할 전망이다.
6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 5일부터 이틀간 미시건주 워렌시 GM구매본부에서 SK에너지, LS산전, 아이아, 경창산업 등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39개사가 참가한 가운데 'GM-Korea 오토파츠 플라자 2009' 행사가 개최됐다.
지난 2006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GM-Korea 오토파츠 플라자'는 지난해의 경우 49개사가 참가해 3억2000만달러의 수출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코트라는 250건의 수출 상담이 진행된 올해 행사를 통해 약 4억달러 정도의 신규 수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GM에 부품을 납품하는 한국기업은 2002년 16개 업체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200여개사로 늘어날 정도로 GM의 한국 부품 사용이 많아진 상태다.
이날 행사장에서도 GM의 보 앤더슨 구매총괄그룹 부사장은 "한국 자동차부품업체들은 최근 3∼4년간 GM에게 아주 중요한 비즈니스 파트너로 부상했다"며 "현재 GM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 극복에 한국 업체들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위기극복 과정에서 한국 부품 구매를 늘리고 있다. 지난 4월 디트로이트 코보센터에서 개최된 디트로이트 자동차부품 박람회(SAE)는 어려운 경제상황 때문에 박람회 규모가 대폭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업체들의 상담규모가 지난해 2억달러에서 올해 6억달러로 3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자동차회사들이 부품구매비용 절감을 위해 구매처를 바꾸는 과정이 한국의 우량 부품업체들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2%대에 불과하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시장규모는 완성차 조립용이 1700억달러, 애프터마켓(정기점검 및 소모품 교환시장)용이 500억달러로 총 2200억달러 규모다. 이 중 한국 자동차부품의 대미 수출은 40억달러 수준이다.
이에 대해 코트라 김태호 부품소재산업팀장은 "최근의 환율효과로 높아진 가격경쟁력과 품질 향상으로 제품 이미지가 많이 개선된 상태"라며 "향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2.5%의 관세가 철폐돼 미국 자동차부품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