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역세권이 지역산업 전략과 연계한 권역별 특성화 발전 전략 수립 및 고밀도 복합개발 추진 등을 통해 전국을 하나의 도시로 엮어가는 데 핵심거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국토해양부는 7일 정종환 국토부 장관 주재로 열린 관계기관 협의회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이같은 내용의 ‘KTX 경제권 개발’ 세부 과제 및 추진계획을 마련해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토부는 KTX 역세권들을 서로 특성화해 연계 개발함으로써, 서울, 대전, 광주, 부산, 대구 등 전국의 거점도시 역세권들이 하나의 도시처럼 산업·비즈니스 역할을 분담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전국이 2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되면 수도권 대 비수도권, 서울 대 지방이라는 오랜 지역대립구도가 사라지고, 전국이 특성화·융합화된 상생발전 구도가 완성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KTX 경제권 개발 전략은 지난달 22일 정부의 ‘생생경제 국민아이디어 공모’에서 대상을 수상한 아이디어로, 지역별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수립과 고밀복합개발 등을 통해 역세권을 광역경제권 거점지역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토부는 KTX 경제권 개발 추진계획을 통해 중장기 고속철도망 구축이라는 국가계획 내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전략을 연계해 권역별 특성화 발전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도보 5분 범위의 역세권(500m 이내)별 개발 여건, 입지 특성, 공공디자인 등을 고려한 복합개발모형과 원활한 사업 추진 및 부동산 투기 방지 등을 위한 법적·제도적 보완방안을 마련하고, 승용차 5분 범위의 직접영향권(3㎞ 이내)에 대한 서비스산업 기반 확충, 미래형 정주여건 확보방안, 간접영향권 개발효과 파급전략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업무·문화·상업·교통 등이 어우러진 복합환승센터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중심도시로 전환하고 인근 교통 물류거점과 연계되는 교통망 구성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이달 중 국토부 및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의 합동 프로젝트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한 뒤, 오는 8월까지 권역별 특성화 방안 및 제도개선 사항 등을 포함한 기본구상을 마련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KTX 경제권 개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4대강 살리기 사업과 함께 ‘생태’와 ‘첨단’이라는 상호 보완성을 통해 녹색성장의 양대축(Two Track)으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