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정몽준 최고위원은 10일 지도부 책임론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대해 "박근혜 전 대표가 나와야 조기 전당대회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조기 전당대회는 박 전 대표처럼 당에 지도력과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나와야 의미가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정 위원은 또 "다시 전당대회를 연다면 실제 당의 운용에 영향력도 있고 책임있는 분들이 나오는 것이 상식"이라며 "전당대회로 최고위원회가 새로 구성되는데 최고위원회에는 각자 독립된 사람들이 나와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은 이어 "지도부가 (이번 재보선에) 책임이 없다고 하면 정말 무책임한 것으로 책임을 느끼는 것이 당연하다"며 "때문에 이번에 만든다고 하는 쇄신 특별위원회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쇄신특위가 문자 그대로 한나라당의 체질과 시스템을 바꿀 수 있는 좋은 쇄신안을 많이 내놓을 수 있었으면 한다"며 "(쇄신특위가 내놓은 대안은) 한나라당 의원들과 대표도 흔쾌히 수용할 것이라 생각하고 (같은 맥락으로) 조기 전대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당내 소장파가 주장하는 인적 쇄신론에 대해 "국회와 정당이 제도적으로 튼튼해지는 것이 민주화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며 "(쇄신에 있어) 희생양이 있어야 한다는 비판보다는 당의 체질과 시스템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적 쇄신 문제와 관련해 불거지는 '이상득 쇄신론'에 대해 "지금 우리가 논의할 때는 아니다"라며 거듭 당의 체질 및 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최고위원회가 제 역할을 못했다는 일각의 비판과 관련, "최고위가 중요 의제에 대해 심사숙고해 논의한 경우가 거의 없이 주로 보고만 듣고 끝난다"며 "최고의결기구로서의 최고위 운영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최고위원들도 집권당 최고위원으로서,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 정말 책임있게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것이 다소 미흡했다"며 "최고위원들 모두에게 각자 다 책임이 있다"고 쓴 소리를 쏟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