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 공천 대가로 특별당비를 주고 받은 혐의로 기소된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와 양정례·김노식 의원이 14일 의원직을 잃었다. 대법원 3부(주심 박일환 대법관)는 이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서 대표 등 3명에게 각각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후보자의 추천과 관련한 금전 수수행위는 정당으로 하여금 후보자 추천 단계에서부터 금권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해 후보자 추천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한다"고 판시했다. 특히 "공직선거에서 정당의 후보로 추천될 수 있는 기회가 금권을 가진 특정 기득권자들에게 집중됨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계층의 구성원들이 정당의 후보로 추천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결과를 초래,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으로 엄격히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 대표는 18대 총선을 앞두고 비례대표 공천 대가로 특별당비 32억원을 받은 혐의로 항소심에서 징역 1년 6개월형을 받았다. 역시 친박연대 소속인 양정례·김노식 의원은 서 대표에게 15억원씩을 건네고 비례대표직을 받은 혐의로 각각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징역 1년을 선고 받았다. 현행 공직선거법 상 현역 국회의원이 금고 이상의 형이나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경우 의원직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친박연대 의석이 8석에서 5석으로 줄게 되고, 재적의원 수도 그만큼 적어진다. 비례대표는 의원직을 상실하면 다음 순번이 승계하는 게 보통이지만, 어디까지나 확정판결 전 해당 의원이 의원직을 사퇴하거나 탈당한 경우에 한한다. 의원직을 유지한 상태라면 승계가 불가하다. 한편 대법원은 이날 이와 함께 같은 사건으로 기소된 양 의원의 모친 김모씨(59)에 징역 1년, 정당인 손모씨(44)에 징역 8월, 자영업자 이모씨(59)에 벌금 500만원에 추징금 5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으며, 친박연대 회계책임자 김모씨(49)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은 파기환송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