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경영위기 극복 위해 '국내기업 인수추진'과 '공적자금투입' 등 정부의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7일 인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 4월27일부터 5월8일까지 인천지역 GM대우 1차협력업체 47개사를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GM대우차의 경영악화가 장기화될 경우 필요한 대책으로 '국내기업 인수추진'(42.9%) 과 '공적자금투자'(40.5%)를 희망했다. 이는 GM대우가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발 빠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협력업체들은 GM대우차의 경영악화가 지속될 경우 '긴축경영'(41.5%)과 '구조조정'(25.6%) 등의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답했다. 업체들은 자동차부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대책에 대해 48.8%가 자동차부품 시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해 다양한 정책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에서 조사대상 전체 업체(42개) 중 52.2%(22개사)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올해 매출액이 40 ∼ 60%정도 감소됐다고 응답했고, 경영상 가장 큰 어려움으로 94%가 매출감소와 자금부족이라고 답해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금의 전반적 사정은 협력업체 37개사(88.1%)가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자금 확보 시 가장 어려운 점은 금융기관의 ‘담보요구’와 ‘금리인상’, ‘대출연장 거부’ 순으로 응답해 정부의 실질적 금융지원 방안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부로부터 기대하는 지원 사항으로 자금지원(41.5%)과 세제지원(27.2%) 순이었으며 자금유형별 경영자금(37.1%), 고용유지자금(28.8%), 원자재 구입자금(26.6%) 순으로 답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