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지 내 옛 전남도청 철거문제를 놓고 5월 단체 간에 갈등을 거듭하면서 5.18 일부 행사가 반쪽 행사로 차질을 빚고 있어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17일 국립 5.18민주묘지관리소와 5월 관련 단체 등에 따르면 18일 오전 10시께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거행되는 제2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경과보고를 장갑수 광주보훈청장이 대신할 예정이다. 국립 5.18민주묘지가 1997년께 완공된 뒤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헌화. 분향에 이어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등의 순으로 진행됐었고 경과보고는 항상 5월 단체 회원들이 했다. 이처럼 지난해 5.18기념식 경과보고는 신경진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회장이 하는 등 5월 단체 회원들의 몫이었다. 하지만 옛 전남도청 별관 갈등이 불거지면서 올해 경과보고 주체를 놓고 내부갈등과 분열을 겪었다. 이로 인해 5월 단체 회원이 아닌 장갑수 광주보훈청장이 차선책으로 경과보고를 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제 2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행사과정에서 행여나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우려해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날 오전 5.18민중항쟁 제29주년 기념행사위원회가 주최하는 추모제가 처음으로 옛 전남도청 별관 앞에서 치러졌다. 추모제는 1980년 5.18민주화운동 이후 망월동 구묘역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매년 치러졌으나 올해는 도청 철거논란에 따른 5월 단체의 주장으로 옛 도청 별관 앞에서 열렸다. 이날 추모제에는 도청 원형보존을 주장하는 5.18유족회와 부상자회만 참석했고 이들 두 단체와 갈등을 빚고 있는 5.18구속부상자회는 참석하지 않았다. 유족회와 부상자회는 5월 영령들의 혼을 묘지에서 옛 도청으로 부르는 의식으로 금남로에서 상여행진을 벌였으며 검은색 천에 529명의 이름이 적힌 대형 위패를 도청별관에 씌웠다. 안성례 기념행사위원장은 추모사를 통해 "민중항쟁의 역사적 현장인 도청이 존폐위기에 놓인 현실이 통탄스럽다"며 "도청 문제와 관련해 '절대 안된다'라는 대전제는 민주주의 다양성을 무시한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이밖에 옛 전남도청 별관 철거문제를 놓고 5월 단체 간 충돌위기나 5.18기념재단 이사장 선출 파행 등이 각종 부작용이 불거진데다 5.18민중항쟁 29주년 기념행사가 모두 끝나면 5월 단체 간에 다시 충돌할 우려 등이 커지고 있어 조속한 해결책 마련, 대동정신 회복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