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기업들이 면접 불참자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는 올 상반기 채용을 실시한 304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악의 면접 지원자로 '연락없이 면접에 불참하는 경우'(66.4%)가 꼽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수많은 서류심사 절차를 거쳐 지원자를 가려냈는데 당사자가 연락도 없이 면접장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곤혹스러운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특히 '무단 결시'라는 답변이 압도적인 비율로 1위를 차지해 면접 불참자로 인한 인사담당자들의 고충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우리 회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면접에 임하는 경우’(13.8%), ‘예의범절을 갖추지 못한 경우’(6.9%), ‘면접 시간을 지키지 못하고 지각하는 경우’(4.9%), ‘직무 및 전공 관련 기초상식이 부족한 경우’(3.0%) 등이 뒤를 이었다. 실제 서류전형에서 합격한 후 면접 기회를 부여 받은 지원자들 중 연락 없이 불참하는 사람은 기업마다 평균 10명 중 3명 이상(35.4%)이었으며 절반 이상 불참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8%나 됐다. 대다수 기업은 면접 불참자가 발생하더라도 참여한 인원만으로 면접을 진행해 채용(74.0%) 하지만 일부는 서류전형부터 채용과정을 다시 시작(21.1%)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에 ‘서류전형 탈락자에게 연락을 취해 면접에 참여하게 한다’(4.9%)는 경우도 있었다. 면접 불참자로 인한 기업의 경제적 손실을 묻는 질문에는 ‘다소 크다’(52.3%)와 ‘매우 크다’(36.8%)는 답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광석 인크루트 대표는 “무단 결시는 기업에 막대한 손실을 끼칠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도의에도 어긋나는 행동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