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5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로 국민장이 치러지는 상황에서 대형이슈로 등장한 북한의 핵실험 강행소식에 적잖이 당황한 분위기다. 무엇보다도 북핵실험이 노 전 대통령의 추모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참여정부에 긍정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참여정부에 날을 세웠던 당내 정치인들과의 화해분위기로 지지층 결집을 내심 기대했던 민주당으로서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북핵실험이 노 전 대통령 서거라는 정치적 이슈를 잠식하면서 보수층의 결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민주당 관계자는 "국민들은 노 전 대통령 서거와 북핵문제를 분리해서 바라볼 것"이라며 "오히려 노 전 대통령 서거라는 이슈에 발생한 북핵문제로 보수와 진보 간의 논쟁보다는 북한에 대한 비판여론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은 이날 북핵실험 소식에 노 전 대통령 애도기간 동안 일체의 당무를 중단한다는 원칙을 깨고 긴급 최고위-관련 상임위(국회 국방위, 외교통상통일위) 연석회의를 영등포 당사에서 열었다. 정세균 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시점도 적절치 않고, 노 전 대통령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재임기간 중 많은 노력을 기울은 분인데 상중에 북이 핵실험을 한 것은 참으로 잘못된 일"이라며 "깊은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어 "(한반도)비핵화의 원칙은 꼭 지켜져야 한다"며 "(북핵실험으로) 남북간 긴장이 고조되면 남북 양측 어디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당 대변인들도 북핵실험 소식에 즉각 논평을 내고 북한을 강력 비난했다. 노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국민의 애도기간에 북한의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는 격양된 반응이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이 2007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했던 두 번째 대통령이라는 점에서 "북한이 조문단을 보내야 하는 상황인데도 핵실험을 한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주장이다. 김유정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남북화해 협력을 위해서 많은 노력과 열정을 기울였던 노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 상황에서 핵실험을 강행했다는 북한에 대해 매우 큰 충격과 분노를 표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북한에 대한 논평에서 '유감'이 주를 이뤄왔던 것이 비하면 이날 공식논평은 한 발 더 나간 셈이다. 노 영민 대변인도 "한반도의 비핵화는 민주당이 양보하거나 포기할 수 없는 가치"라며 "한반도의 긴장을 더욱 높인 이번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민주당은 단호히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