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남한 사회가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북한이 25일 핵실험을 강행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실험 강행이 미국의 대북 제재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미국 압박용'인 동시에 후계구도 안정화를 위한 '내부 체제 단속용'이라고 진단했다. 또 노 전 대통령의 서거와는 무관하다는 분석이다. 북한대학원대학교 이우영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은 이미 준비된 것으로 북한의 계속된 강경한 흐름 속에서 봐야할 것"이라며 "최근 오바바 미국 대통령이나 클린턴 국무장관 등 미국이 북한 문제를 시급하게 처리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압박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민주화네트워크 김윤태 사무총장도 "북한의 일관적인 입장은 핵개발과 보유"라면서 "군사도발과 외부와의 단절을 통해 내부 체제 유지에 올인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미국에 대해서도 수위를 높여가면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연구소 정성장 수석연구위원은 "(핵실험은) 지난번 북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미국이 유엔안보리 제재를 가한 것에 대한 반발"이라며 "김정일 건강 이상설 이후 북한 군부의 불안감도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이어 "핵 보유를 기정사실화하기 위한 핵실험이며 후계자로 내정된 김정훈씨가 나이가 어려 과소평가되는 경향에 대한 대내외적 과시용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한 시점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것에 대해서도 북한의 주요 타겟이 미국인 만큼 남한 상황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많았다. 김 사무총장은 "북한은 원래 남한은 고려하지 않고 미국을 상대로 모든 문제를 풀려는 경향이 있다"며 "노 전 대통령 서거와 무관하게 핵실험을 강행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 연구위원도 "북한으로서도 노 전 대통령 서거는 예상 밖의 사건일 것"이라며 "그러나 북한 나름의 결단에 따라 정해진 날짜에 그대로 끌고 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 연구위원은 북한이 주로 미사일 발사를 국제적 이슈가 거의 없는 일요일에 강행해 왔는데 이번에 월요일에 진행한 것은 오히려 노 전 대통령 서거로 하루 미뤄진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로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우영 교수는 "최근 남한 정부가 대북 정책에 입장을 전환하려는 기미가 보였지만 이번 핵실험은 정부 입장은 더욱 강경해 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