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성과 바탕의 연봉제로 내부 경쟁을 강화한다.
KT는 연공서열식 인사제도와 호봉제를 전면 폐지, 성과를 근거로 한 연봉제를 전 직원에게 시행하는데 노사가 합의했다고 31일 밝혔다.
노사 양측은 공기업의 잔재로 지적받아 온 일반직, 연구직, 별정직, 지원직 등 직종구분과 2~6급 직급체계를 폐지하고 성과에 따른 보수등급 체계로 개편키로 합의했다.
직원들은 직급 대신 급여 수준에 따라 L(리더), P(프로페셔널), S(시니어), J(주니어), A1(어시스턴트1), A2(어시스턴트2) 등급으로 구분된다.
또 차장제가 신설되고, 3년간의 성과를 고려한 포인트 승격 방식도 도입된다.
KT는 이와 함께 3년6개월간의 창업지원 휴직제도도 도입한다.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고령 노동자의 심리적 불안 해소와 안정적인 삶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KT는 특히 주목할 점으로 30년간 유지해 온 호봉제의 전격 폐지를 꼽았다. 성과주의 인사의 가장 큰 장애였다는 판단이다. 김한석 KT 인재경영실장은 “이번 개편으로 연공서열식 인력관리체계를 혁신하는 전기를 마련했다”며 “KT가 직면한 성장정체를 극복하고 주주와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KT는 올해 임금을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