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업인 GM이 미국에서 파산보호 신청을 했지만 GM대우는 ‘뉴(New)GM'에 포함돼 정상적인 경영이 가능하게 됐다.
GM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는 1일 밤(한국시간) 미국에서 GM이 발표한 파산보호 신청 및 ‘뉴GM’ 출범과 관련해, GM대우의 한국 내 모든 사업장과 베트남 생산법인인 비담코(VIDAMCO), 시보레 유럽 판매법인, GM코리아는 ‘뉴GM’에 편입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GM대우와 GM코리아는 모기업인 GM의 미국 내 파산보호 신청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정상적인 경영 활동을 유지해나가게 됐다.
또 GM대우와 GM코리아 고객들은 평상시대로 차량을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차량 인도와 보증수리, 각종 고객서비스 등도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GM대우와 GM의 국내 협력업체와의 모든 계약 조건, 거래대금 지불방식 등도 그대로 유지된다. 임직원들의 임금 역시 정상적으로 지급되며 근무시간도 평상시대로 유지된다.
아울러 부평과 군산, 창원, 보령에 있는 GM대우의 국내 4개 공장과 베트남 비담코 생산공장은 국내·외의 시장 수요를 맞추기 위해 계속 정상 가동한다.
마이클 그리말디(Michael. A. Grimaldi) GM대우 사장은 “GM대우가 현재 진행 중인 GM의 글로벌 경·소형차 개발 프로그램 역시 예정대로 추진되며, 이번 미국 내 파산보호 신청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GM대우 및 GM코리아의 국내·외 모든 사업장은 이번 ‘뉴GM’의 출범과 함께 모기업이 더욱 건실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모든 협력과 노력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리말디 사장은 “뉴GM의 출범과 더불어 GM대우는 새로운 회사의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면서 “뉴GM이 출범하게 되면 한국의 모든 임직원, 협력업체, 딜러들은 GM이 더욱 경쟁력있는 회사로 새롭게 태어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GM대우에 따르면 모기업인 GM은 이날 조직 개편안을 발표하고 “전미 자동차노동조합(UAW), 캐나다 자동차노동조합(CAW), 미국 재무부 및 캐나다 정부와의 합의를 바탕으로 더욱 건실하고 경쟁력 있는 ‘뉴GM’을 출범해 수익성 있고 자생력 강한 회사로 새롭게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GM은 이와 관련해 모든 글로벌 자산을 ‘뉴GM’에 매각할 것이라고 밝히고, 매각과 관련된 합의사항 이행을 위해 미국 파산보호법에 따라 미국의 뉴욕 남부지법에 파산보호 절차를 신청했다.
‘뉴GM’은 ‘시보레(Chevrolet), 캐딜락(Cadillac), 뷰익(Buick), GMC’ 등 GM의 미국 내 4개 핵심 브랜드와 GM대우를 비롯해, 가장 경쟁력있는 미국 내외의 GM 사업장을 중심으로 구성돼 고객과 미래 지향적인 회사로 재탄생하게 된다.
‘뉴GM’은 법원의 최종 승인절차를 거쳐 향후 60∼90일 이내에 GM으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법인으로 출범할 전망이며, GM이 지난 4월 27일 발표한 자구 계획안을 실행해나가게 된다.
아울러 ‘뉴GM’은 낮아진 채무 부담 및 사업 운영비용 구조를 바탕으로 한층 개선된 재무 건전성을 확보한 더욱 경쟁력있는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GM대우는 전했다. 또 향후 고객을 최우선으로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감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