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의 경우 대한전문건설협회에 등록 된 업체는 수백 개에 이르지만 안동지역 전문건설업체들은 2009년 공사입찰 및 수위계약 단 한건도 받지 못한 업체들이 부지기수이다.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여파로 인해 지역 소규모 업체들이 안동시에서 발주한 소규모 소액수의계약이 본래의 취지가 변색돼 일부 특정업체 밀어주기 식으로 행하고 있어 전문건설업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정부가 올 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규모 건설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수의계약 금액을 상향조정했으나 본래의 취지대로 가지 않고 각종 이권청탁 및 친분에 의한 공사 수주가 많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아직도 판치고 있는 페이퍼 컴퍼니와 자격증 대여 불법하도급이 난무하고 있어 영세한 전문건설업체의 삶의 터전을 앗아가고 있으나 시는 이에 대한 대책을 전혀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옥동 7주공APT 공사에 참여한 안동지역 소규모 업체들이 공사대금 12억 원을 받지 못해 가족과 생이별을 해야 할 입장이며 이로 인해 신용불량자 신세가 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안동시는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현재 지방자치단체는 수의계약을 임의로 선정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전혀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대부분은 학연 과 지연 또 친인척으로 대부분은 수의계약이 체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각종 공사수주가 인맥과 학연지연으로 이어지면 부실시공 개연성과 절세할 수 있는 부분의 관리감독 소홀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국민의 혈세가 낭비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상적으로 수의계약상 업체가 1년에 3~4개 정도 수의계약을 하면 그 속에는 무언가 문제성이 있다고 볼수 있다. 앞으로 안동시는 고질적인 한국사회의 인맥주의를 타파해 지역 건설업체간 골고루 분배 할 수 있는 정책을 발표해 장기적인 경기침체의 늪에서 탈출 할 수 있도록 배려 해야 할 것이다. 윤재철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