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 124명이 현 정부에 대해 "대통령 스스로 나서서 국민 각계각층과 소통·연대할 것"을 촉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수사를 비판하고 사죄도 요구했다.
서울대 교수들은 3일 오전 11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신양인문학술정보관 3층 국제회의실에서 이같은 내용 담긴 시국선언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서울대 교수들의 시국선언은 지난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내용의 시국선언이 발표된 후 5년만에 처음이다.
이 날 발표 현장에는 김인걸(국사학과), 최갑수(서양사학과), 최영찬(농경제사회학과), 이준호(생명과학부) 교수 등 12명이 참여했다. 시국선언 서명에 참여한 교수는 총 124명이다.
이들은 현 정부에 ▲대통령 스스로 나서서 국민 각계각층과 소통·연대하고 ▲표현의 자유, 집회와 결사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노 전 대통령 관련 검찰 수사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사죄하며 ▲용산 참사 피해자에 대해 국민적 화합에 걸맞은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우리 국민은 누구나 전직 대통령의 비극적인 죽음 앞에서 큰 아픔을 겪고 있다"며 "전국 각지에 길게 늘어선 조문행렬은 단지 애도와 추모의 물결만은 아니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착잡하기 이를 길 없는 심경으로 나라의 앞날을 가슴속 깊이 걱정하는 모습이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해 "국가원수를 지낸 이를 소환조사까지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3주가 지나도록 사건 처리 방침을 명확히 밝히지 못하고 추가 비리 의혹을 언론에 흘림으로써 전직 대통령과 가족에게 견디기 힘든 인격적 모독을 집요하게 가했다"며 "이는 엄정한 공직자 비리 수사라고 하기 곤란하며 상식에서 벗어난 것이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현 정부가 출범한 이후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 또한 훼손됐다"며 "주요 방송사가 바람직하지 못한 갈등을 겪는가 하면 국회에서 폭력사태까지 초래한 미디어 관련 법안들은 원만한 민주적 논의절차를 거쳤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또 미디어법 논의를 위해 구성된 미디어발전 국민위원회과 관련해 "여당 측 위원들이 회의 공개나 국민여론 수렴을 반대함으로써 위원회는 표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들은 신영철 대법관의 촛불집회 재판개입과 4대강 살리기의 대운하 사업 연관 의혹,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자살, 용산 참사에 대한 책임론 등을 거론하며 "이명박 대통령과 현 정부가 전직 대통령에 대한 범국민적 애도 속에 주어진 국민적 화해의 소중한 기회를 잘 살리고 국민의 뜻에 부응하기를 우리는 간절히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교수들의 시국선언에 대한 서울대 학생들의 지지 목소리도 높았다. 기자회견장 주변에서는 학생들이 '교수님들의 시국선언을 지지합니다', '이제 학생들이 답할 차례'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지지의 뜻을 밝혔다.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지켜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과 재학생 신재근씨(21·남)는 "교수님들의 시국선언은 단지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한 것이 아니다"라며 "그간 이명박 정부의 실정이 거듭된 것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이제야 나온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씨는 또 "경제학과 학생의 기초적인 지식으로 생각해봐도 이명박 정부의 대운하 공약이나 7·4·7 정책은 가당치도 않은 것"이라며 "학내 커뮤니티 등을 보면 시국선언에 동감하는 의견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 날 기자회견장에는 '대한민국어버이연합' 회원이라고 주장하는 노인 20여명이 참석해 시국선언에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들은 교수들의 시국선언 발표 뒤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이 시작되자 단상으로 뛰어나가 반대구호를 외치는 등 소동을 벌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