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 강한 의지를 다시 한번 드러내면서 노조의 총파업에 대한 최종 수단으로 ‘공권력 투입’을 시사했다. 이유일, 박영태 쌍용차 공동관리인은 3일 오전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과 직장폐쇄 등을 포함한 일련의 사태에 대해 이같은 사측의 입장을 밝혔다. 이 관리인은 “노조의 파업과 직장폐쇄가 더욱 장기화될 경우, 생산과 판매 중단에 국내외 영업기반 붕괴와 협력업체 연쇄 도산이 현실화될 것”이라며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기에 강력한 대응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쌍용차는 회생을 위해 인력 구조조정과 추가적인 자금 조달을 조건으로 지난달 22일 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안 제출 명령을 받고 회생절차를 진행 중이다. 노조는 사측의 구조조정 계획에 강력히 반발, 지난달 21일부터 전면 총파업에 들어갔다. 22일부터는 평택공장 점거에 들어간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지난달 말 기준으로 3793대 생산차질과 820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했고 이달에도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1170억원의 매출 차질로 이어져 누계 매출 차질만 199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사측은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총 1545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지난 2일에는 1056명에게 정리해고 통지서도 발송했다. 이 관리인은 “불가피하게 시행된 이번 구조조정으로 받게 될 직원들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해고 확정 효력일(6월 8일) 이전인 오는 5일까지 희망퇴직을 연장해 직원들의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희망퇴직과 구조조정에 의한 임금격차는 50% 이상으로 3000만~5000만원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의 계획에 여전히 반발하면서 현재 주요 핵심시설을 점거, 파업을 진행 중이다. 사측의 직장폐쇄와 퇴거 명령에도 불응하고 있다. 이 관리인은 “회사의 근본적인 요소 즉, 주요 핵심 시설물에 대한 보호, 신속한 라인 정상화를 통한 생산, 판매의 재개를 위해 법적 해고 확정 효력일 이후 합법적인 수단을 통해 퇴거명령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며 공권력 투입을 시사했다. 한편, 오는 5일에는 노사정 협의가 열릴 예정이어서, 이 때가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쌍용차 사태의 마지막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