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4일 청와대에서 7대 종단 대표들을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갖고 최근 북한 핵실험 등 대북문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국민화합, 경제위기 극복 등 국가적 현안에 대한 제언을 청취했다. 종단 대표들은 1시간 50분 가량 이어진 이날 면담에서 이 대통령에게 각종 현안에 대한 제언을 하며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 "뜻밖의 국사로 인해서 많이들 상심하셨을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일본도 북한에 더 이상 끌려다녀서는 안 되겠다는 태도를 확실히 보였고, 중국도 매우 격앙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 참석자로부터 "세간에 대통령이 6.15와 10.4 선언에 반대한다는 오해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는 "나는 그동안 일관되게 6.15와 10.4선언을 포함한 모든 남북 간에 합의서를 존중해야 하고 이것의 이행 방안을 만나서 협의하자고 했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남북기본합의서는 고 김일성 주석이 서명하고 북한 최고인민회의에서 통과된 공식문서"라며 "북한에 식량을 지원하는 나라는 있지만 북한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우려는 나라는 한국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한 참석자는 "대통령이 외교와 경제는 A학점일지 모르지만 정치에는 후한 점수를 주기 어렵다"며 "우리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정치문제에 대해서도 경제문제 못지않게 신경을 많이 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참석자도 "대통령이 불철주야 어려운 시기에 노력해서 일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심장부가 잘 해 줘야 한다"며 청와대 참모들을 질타했고, 또 다른 참석자도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해 가면서 설득하는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에 대해 "잘 새겨서 앞으로 국정운영에 반영하겠다"며 "사회통합과 화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일부 종교 지도자들은 노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된 서울대 등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과 일부 언론의 보도행태를 꼬집기도 했다. 한 참석자는 "지식인의 상징인 대학교수들이 시국선언을 한다면서 왜 북한의 세습이나 핵실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한 참석자는 "부정부패를 단속하는 일이 마치 큰 잘못인 것처럼 몰아가는 분위기는 정의롭지 못한 것"이라며 "말없는 다수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외에 "젊은이들이 인터넷 문화의 틀 속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줘야 한다"는 여론과 "국민들의 건강한 의사를 대변할 수 있는 이른바 국민기구―시민운동기구를 종교단체가 앞장서서 만들어야 되는 것 아닌가"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날 간담회에는 엄신형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개신교), 운산 태고종 총무원장(불교), 김희중 주교(천주교), 최근덕 성균관장(유교), 이성택 교정원장(원불교), 김동환 교령(천도교), 한양원 민종종교협의회장 등이 참석했다. 불교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은 오래 전 약속을 이유로 불참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지관 스님이 불참한 것은 정부에 대한 불만이나 그런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4월에도 7대 종단지도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가진 바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