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1일 양북면에 건설중인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완공이 늦어 진다(본보 6월 2일자 1면)는 발표와 관련해 경주지역 시민단체가 관련자 문책을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경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4일 오후 성명서를 통해 최근 한수원이 밝힌 중.저준위 방폐장 공기 지연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며 방폐장 처분시설 엉터리 설계에 대한 책임소재와 관련자 문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경실련은 공사 진행상의 문제점과 책임소재를 가리기 위해 착공시기부터 지금까지 방폐장 처분시설 1단계 주설비공사 주간공정회의 자료를 전면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이날 성명서에서“방폐장 유치과정에서 부지가 사전 타당성조사와 실시설계 과정에서 이미 광범위한 연약지반 암반이 형성되어 있다는 널리 알려진 사실을 지금에 와서 몰랐다면 매우 큰 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국내 최고의 건설사와 발전소 건설을 관리감독 운영해 온 한수원이 공사기간이 2년6개월이나 늘어날 만큼 중대한 문제를 예측하지 못한 설계는 이해할수 없다”고 밝혔다
더욱이 "인.허가를 책임져야할 정부의 관련부처인 지식경제부나, 교과부 산하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이런 문제조차 예측하지 못하고 건설허가를 내줬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성토했다.
또한 공사비 700억원 증액에 따른 책임소재를 밝히기 위해 방폐물공단은 건설사와의 공사도급계약서와 당초 입찰 제안서를 공개하라고 강조했다.
경실련은 한수원이 지속적으로 경주시민들을 속인다면 방폐장에 대한 안전성을 답보하고 진실을 밝히기 위해 감사 청구 및 시민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1일 양북면에 건설중인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완공이 2년6개월이나 늦어지고 공사비용도 당초 1,200억원에서 700억원이 늘어나 1,900억원이 될 것이라며 이는 연약지반의 보강과 지하수 차단 작업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성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