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대구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 파동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는 음식물 쓰레기 폐수(이하 음폐수) 처리업체들이 지난 5일부터 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고 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현재 민간업체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 중 음폐수는 해양투기 업체를 통해 바다로 투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업체는 해양경찰의 음폐수 함수율 단속과 (사)한국음식물자원화협의회와의 갈등 등을 이유로 5일부터 수거업체의 음폐수 반입을 거부하고, 해양투기를 중단했다.
전국 19개 음폐수 해양투기 업체 대부분이 파업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 전역에서 하루 평균 발생하는 560t의 음식물 중 350t 가량의 음폐수 처리가 불가능할 전망이다.
또 음식물 쓰레기 수거업체에서 음폐수를 자체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은 4일을 넘지 못해, 이 기간 파업이 종결되지 않으면 음식물 쓰레기 대란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해양투기 업체의 파업이 길어질 것에 대비, 신천하수병합처리장과 소각장을 풀가동해 하루 450t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키로 했다.
또 시·군별로 비상근무반을 편성해 파업사태가 끝날 때까지 환경녹지국장을 수습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반을 운영, 비상근무체제로 돌입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음식쓰레기 발생을 최대한 줄이고 특히 가정에서부터 가급적 건조한 상태에서 배출해 줄 것"을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이 관계자는 또 "2013년부터 도쿄 의정서에 따라 해양투기가 근원적으로 차단될 경우에 대비해 7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음식물 쓰레기 바이오가스화 사업(300t/일 처리)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손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