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최종 정리해고 대상자 976명이 8일부터 해고자 신분에 놓이게 됐다.
쌍용차 노조가 제시했던 1000억원 담보 및 12억원 출연 등 자구안도 모두 폐기됐다.
쌍용차는 8일 "노조가 파업을 풀면 정리해고를 유보하겠다는 사측의 협상안을 거절했다"며 "최종 정리해고 대상자 976명에 대한 법적 해고 효력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쌍용차는 지난 6일 노조에 서면을 통해 "파업을 풀면 정리해고를 강행하지 않고 유보하겠다"는 협상안을 제출했다.
그러나 노조는 이날 오전 공장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사측이 정리해고 유보를 논하는 것은 정리해고 자체가 부당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정리해고를 철회하고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자"고 거듭 강조했다.
노조는 또 "이미 1700여명의 노동자들이 떠났다"며 "노조가 회사 회생을 위해 제시해온 1000억원 담보와 비정규직 기금 12억 출연, 일자리 나누리 등 자구안을 폐기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사측의 조업재개 및 대화재개 제안을 노조가 정리해고 철회 및 고용보장만을 주장하며 거절해 대화조차 성사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앞서 쌍용차는 노동부에 지난달 8일 2646명의 정리해고 계획안을 신고, 1500여명의 희망퇴직을 신청받았다.
이어 쌍용차는 지난 2일 희망퇴직을 신고한 이들을 제외한 정리해고 대상자 1056명에게 정리해고를 개별 통보하고 5일가지 추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이를 통해 80여명이 추가로 희망퇴직을 신청, 최종 정리해고 대상자는 976명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