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 앞뜰 '로즈가든'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으며,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6자회담 참석 5개국이 협력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대화에 나올 수 있도록 하자"고 합의했다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이와 함께 미국이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지 등 모든 수단을 통해 한국에 대한 안보 공약을 이행할 것임을 천명하고,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아울러 한미관계를 기존의 안보 중심에서 경제·사회 등 다양한 분야로 한 차원 높이는 '한미동맹 공동비전'을 채택했음을 밝혔다. 이와 함께 양국 정상은 현재 북한에 억류 중인 개성공단 직원 유모씨와 미국 여기자 2명을 북한이 조건 없이 석방할 것을 요구했다. 양국정상은 한미 자유무역협상의 비준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쇠고기·자동차와 관련해 우려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비준동의안 의회 제출 시점에 대한 질문에도 "양국이 도움이 되는 때"라고 명시적인 시기를 못박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과 어떠한 경우에도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6자회담 참석 5개국이 협력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대화에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한미공조 뿐 아니라 중국·일본·러시아 등 3개국과의 공조를 통해 북한은 이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며 "과거 방식을 버리고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에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도 "미국의 안보회의가 강력한 조치를 취해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며 "이제 국제 파트너들과 함께 결의안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과 저는 러시아·일본·중국과 더불어 북한에 위협이나 불법적 무기를 통해 절대 자신들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는 파트너들과의 약속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며 "북한의 핵 프로그램은 아시아 지역과 세계의 평화·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지 등 모든 수단을 통해 한국에 대한 안보 공약을 이행할 것임을 확약했다"며 "이는 우리 국민들로 하여금 안보에 대해 더욱 안심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북의 도발 행위에 직면하면서 대한민국은 결의를 보여줬고 미국의 존중, 전 세계의 존경을 받고 있다"며 "이 대통령과 더불어 아시아 및 전세계의 평화·번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은 지속적으로 이웃 국가들을 위협하고 있다"며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면 불안정한 상황을 초래할 것이며, 전세계 안보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우리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계속해서 열심히 추구할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한미관계를 기존의 안보 중심에서 경제·사회 등 다양한 분야로 한 차원 높이는 '한미동맹 공동비전'을 채택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관련, "전쟁 속에서 탄생해 한반도의 안보를 성공적으로 지켜온 한미동맹을 보다 차원 높은 파트너십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이 기회를 빌어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6.25전쟁에서 싸웠던 미국 국민들의 희생에 대해 거듭 감사한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우리는 동북아 안보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한국과 다른 차원에서의 전략적 동맹관계를 맺어 경제 발전, 민주주의, 비핵화, 대테러 활동, 평화유지까지 여러 면에서 동료 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