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소에 개체식별번호를 달아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이 22일부터 전면 시행된다. 절차가 복잡해지는 만큼 쇠고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8일 소의 출생부터 사육, 도축, 가공, 판매까지의 정보를 기록해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내용의 쇠고기 이력추적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도축, 포장처리, 판매 등 유통단계까지 이력추적제가 확대되는 것이다. 도축업자, 식육포장처리업자, 식육판매업자로 단계가 넘어가는 동안에도 개체식별번호는 남는다. 유통단계를 거치면서 개체식별번호를 일일이 확인하고 표기, 기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쇠고기 가격이 상승하지는 않을까. 농식품부 이창범 축산정책관은 “비용 상승 요인이 조금은 있을 것”이라고 인정했다. “등급별로 함께 모아 작업했던 것을 개체별로 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과 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것이다. “약 10~20% 정도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도 “소비자들에게 가격이 완전히 전가된다고는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에서 장비 등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비용 상승 요인들이 소비자 가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판단이다. 한편, 개체식별번호 적힌 귀표가 없는 국산 소는 도축, 유통, 판매가 전면 금지된다. 신고, 표시, 기록 등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과태료를 물게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