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에 기업 부실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3일 “현재가 외환위기 때와 같은 총체적 위기상황은 아니지만 기업부실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에도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부실과 함께 향후 추가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기업 부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우선 하반기 기업부실 확대요인으로 기업 채무상환 능력이 약화된 점을 지적했다. 올해들어 글로벌 경기 침체가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이자비용은 증가했고, 또 기업들이 유동성 확보에 나서면서 부채비율이 상승해 이자비용이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이 크게 떨어지면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이 크게 저하되기에 이르렀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작년 1분기 88.2%에서 올해 1분기 109.5%로 상승했다.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은 같은 기간 6.70에서 2.32로 하락했다. 특히 지난 1분기 12월 결산 상장법인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185개사로 전년동기(141개사)에 비해 44개사나 급증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된 기업의 수가 증가한 데다 하반기 중 경기 회복속도가 더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기업 부실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경기호황시에 급증했던 기업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시중자금이 안전자산 위주로 쏠림에 따라 기업 자금사정도 경색되고 있다. 게다가 원달러 환율 하락과 유가 상승에 따른 기업 채산성 악화도 기업 부실 우려를 확대시키고 있다.
연구소는 최근 일부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경제가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들어가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한 데다 경기저점 이후에도 부실채권비율이 상당기간 높아지는 경향을 감안할때 기업들의 자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비용구조를 개선하고 부채비율을 낮추며 수익성이 불투명한 사업부문 정리하는 등의 경쟁력제고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원달러 환율과 유가 변동성 확대에 대응해 가격대별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시나리오 경영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책당국도 기업들이 경쟁력 제고에 나설수 있도록 기업 구조조정을 전문으로 하는 펀드들이 자본시장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M&A 관련 세제 지원, 행정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구조조정 전문 펀드들이 활발하게 구조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비우량기업들의 자금경색이 좀처럼 풀리지 않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현행 정책기조를 좀 더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반기에도 내수와 수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유지할 필요기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