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비에 블랑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미국 MIT 경제학 교수는 24일 한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정도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블랑샤 교수는 이날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은행(WB) 개발경제회의(ABCDE)에서 “한국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국가의 성장률을 지난 4월 전망치보다 상향조정, 1%포인트씩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앞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4.0%로 전망했었다. 다만 최근 경기회복 분위기를 바탕으로 몇몇 기관이 -2~0%로 한국경제 성장률을 조정했고, IMF도 이 같은 회복세를 전망에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블랑샤는 한국 경제에 대해 “확장적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으며 한국통화(원화)의 평가절하도 (전망치 상향에)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이머징 국가들의 경제상황이 3~6개월 전보다 훨씬 나아졌고 예상보다 빠르게 좋은 상태로 가고 있다”면서도 “이런 현상이 아시아권에서는 희소식이 될 수 있으나 세계적으로 꼭 그렇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지속가능한 경기회복과 경제성장을 이루려면 글로벌 불균형이 해소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아 미국이나 유럽 등 수출시장이 살아나기 전까지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블랑샤는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 회복세는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미국의 수입이 늘고 있기 때문인데, 이는 재고를 다시 쌓는(restocking) 과정으로 볼 수 있어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번 경제위기로 한국 등 시장개방형 국가들은 큰 충격을 받았으나 중국, 인도 등 상대적으로 폐쇄경제형인 국가들은 (위기 이후에도) 플러스 성장세를 보일 수 있었다”면서 “IMF가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을 상향조정하더라도 중국과 인도는 유지할 것”이라고 알렸다.
외환보유액과 관련해서는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많이 쌓는 게 좋기는 하지만 세계적으로 볼 때 (과도한 축적은) 낭비”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