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LG전자는 상반기 생산단계에서 1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고 밝혔다. 제품사용에서도 200만t 을 줄였다고 한다. 국내외 사업장을 모두 포함한 올해 온실가스 예상 배출량 기준으로 보면 각각 7%, 2% 다. 올해 초 LG전자는 2020년까지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 대비 15만t 줄이고, 제품 사용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연간 3000만t을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은 설비개선, 공정혁신, 생산기술의 고도화, 에너지효율 개선, 낭비제거 등 전사적인 저감 활동이 크게 기여했다”고 알렸다. 에너지 효율 면에서도 2012년까지 2007년 대비 약 15% 향상시킨다는 방침이다.
평택사업장 생산현장은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이용한 냉방 시스템을 올 초부터 가동하고 있다. 폐열을 회수해 재활용할 수 있는 설비도 도입 중이다. 생산 공정에 지하수 사용이 늘면서 상수도 사용량도 줄었다.
세탁기는 독자 개발 모터인 ‘다이렉트 드라이브’로 전력 사용량을 낮췄다. 4월 환경부로부터 CO2 레이블 인증도 받았다. 대기전력이 낮은 휴대폰 충전기도 개발 중이다. TV와 모니터는 LED 백라이트를 채택,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인도에서는 고효율 냉장고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인 만큼 탄소배출권을 받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 우면동 R&D 캠퍼스는 올해 초부터 분수대 가동시간을 7시간으로 2시간 줄였다. 24시간 전원이 켜져 있던 자판기 시설도 12시간으로 조정했다. 에코디자인위원회도 매년 두 차례 열고 있다. 사내 환경전문가들로 이뤄진 친환경제품과 CO2 전문위원회, 친환경포장 전문위원회, 규격 전문위원회 등 전문위원회들 운용 중이다.
연말까지 해외 32개 전 사업장에 ‘온실가스 인벤터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기업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파악, 기록, 유지관리, 보고하는 통합 온실가스 관리시스템이다.
LG전자는 “친환경 정책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전 과정에 걸쳐 온실가스 감축, 유해물질 사용금지, 생활환경 개선, 에너지효율 향상, 재활용성 향상, 자원사용 저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