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26일 김형오 국회의장의 언론관계법 등에 대한 직권상정 처리 입장 표명에 대해 변명일색에 불과하다고 맹비난했다.
김 의장은 이날 언론법 처리에 대한 야당 및 언론의 문제제기에 대한 입장 발표를 통해 언론법 등 직권상정 처리는 의장의 소신에 따라 진행된 것이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결코 회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윤성 국회부의장이 본회의 사회를 본 것에 대해서도 책임 회피가 아닌 입장 불가 상황 때문이었다는 한편 외부세력의 무단 침입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처리하겠다고 피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유정 대변인은 "김 의장은 지난 3월 3일 사태에 대해서도 조사 후 책임지겠다고 했지만, 결국 절차상 하자가 없다면서 어물쩍 넘어갔다"고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김 대변인은 "김 의장은 의장석을 먼저 점거한 당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밝혔지만 이에 대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않다"며 "한나라당과 국회 사무처의 폭력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고 언론노조 지도부의 본청 출입에 대해서만 엄벌하겠다고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김 대변인은 "김 의장은 계속 야당 탓만 하면서 한나라당 대변인인 것 같은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현재 김 의장이 책임지는 방법은 의장직 사퇴와 대국민 사과뿐"이라고 강조했다.
노영민 대변인은 "김 의장은 야당이 점잖게 하려고 참고, 또 참고 있는 것을 모르고 수준 이하의 발언, 구제불능 발언만 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노 대변인은 "자질이 안되는 사람이 막중한 자리에 앉다보니 (국회의장이라는) 자리가 얼마나 무거운 자리이고 책임이 따르는 자리인 지 모르는 것 같다"며 "하루 빨리 자리에서 내려오는 것이 자신이나 나라를 위해서 좋을 것"이라고 질타했다.
전병헌 의원도 "의장석을 먼저 점거하는 당에 불이익을 준다고 했던 것에 대해 분명하게 답을 해야 한다"며 "특히 중재를 하겠다고 했다가 날치기 처리에 협력한 것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진보신당 김종철 대변인은 "해명 전반이 자신의 변호에만 급급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잘못됐다고 인정한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조치하겠다는 내용이 없는 변명일색이다"며 "아무 책임이 없는 양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은 안쓰러울 뿐"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김 의장이 대리투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를 피력한 것에 대해 "결코 용납할 수 없는 불법인 대리투표에 대해 고작 '철저한 진상조사'가 무엇이냐"며 "김 의장이 지금 취해야 할 조치는 '대리투표는 명백히 진행됐고, 그래서 이번 표결은 무효'라는 선언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