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6일 비무장지대(DMZ)를 가로지르는 '남북경협평화공단'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명박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밝힌 '재래식 무기 감축'방안과 관련, "재래식 무기를 줄이고 전방배치된 병력을 뒤로 물린다는 것은 평화적 이용공간을 확대한다는 것을 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경협평화공단 구상과 관련, "현실적으로 북한에 개성공단이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다"며 "남북에 걸친 대규모 공단이 나오면 상징성이 있을 뿐 아니라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군비를 감축함으로써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는, 특히 북한의 경우 마중물로 쓸 수 있는 그런 상황"이라며 "발상의 전환을 통한 획기적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변인은 "평화를 이야기하려면 총검을 녹여 농기구를 만드는 발상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이홍구 전 국무총리 같은 분들도 DMZ에 걸친 남북경협평화공단 등의 구상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또 "평화를 이야기하려면 비핵화와 함께 재래식무기감축 등의 문제들이 이야기돼야 한다"며 "그것이 대통령의 생각이고 구상"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남북 고위급 회의 설치' 발언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4월 미국 방문 당시 이 대통령이 제안한 '서울 평양 연락사무소 설치'와 맥을 같이 한다"며 "이 대통령은 평소 민족의 장래를 위해서라면 언제든 무릎을 맞대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논의를 할 용의가 있다고 말해왔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여러가지 여건이 성숙되는 것을 전제로 김 위원장이 살아 있는 동안 남북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정상회담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룰 수 없는 일을 양 정상이 결단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있다"며 "북핵폐기 문제 등을 전제로 달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나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 "아직까지는 원칙적인 입장과 방향의 제시일 뿐"이라며 "일관성 있는 대북기조 원칙에 입각한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뜻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