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세가 주춤하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10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전월중 크게 확대됐던 은행들의 대출자산 유동화가 줄어들면서 전월보다 1조4000억 원 증가한 405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9월) 4000억 원의 감소를 기록한 뒤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
하지만 모기지론 양도를 포함할 경우 증가 규모는 전월 2조4000억 원에서 2조 원으로 오히려 축소됐다.
한국은행은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규제 강화, 대출금리 상승세 지속, 제2차 보금자리주택 공급 계획 발표에 따른 주택구입 연기 등에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은 증가(전월 -1조 원→1조4000억 원)로 돌아섰다.
반면 기업대출은 515조6000억 원으로 2조1000억 원이 늘었다. 중소기업대출은 월초 추석자금 대출 상환 등으로 증가 규모가 전월(2조8000억 원)보다 작은 2조2000억 원을 기록했다. 대기업대출은 회사채 발행 지속과 일부 대기업의 만기상환 등으로 2000억 원 감소했다.
은행 수신은 1014조3000억 원으로 전월보다 6조8000억 원 줄었다.
그러나 산업은행 분할 및 정책금융공사 설립에 따른 16조5000억 원의 산금채 이관분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전월보다 9조8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전월 18조3000억 원 감소한데 이어 지난달에도 7조3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한은이 이날 함께 발표한 '9월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시중 통화량을 나타내는 광의통화(M2) 증가율은 평잔 기준으로 전월보다 상승한 10%내외로 추정됐다.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국내증권투자 자금유입 등으로 국외부문에서 통화공급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