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일 치러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코앞에 닥쳤는데 선거구 획정 늑장으로 예비후보자들을 속태우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빠지면서 지방의회 선거구 획정 작업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내 지방의원 예비후보자들은 유권자의 선택을 받아야 할 처지에서 선거구가 불투명해 선거전략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는 불평이다. 도내 지방의회 예비후보자 등록이 20일부터 시작되는데 선거구 획정이 미뤄져 답답해하고 있다. 예비후보자들은 국회는 풀뿌리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부터 배워야 한다는 비판이 하늘을 찌른다. 지방선거가 2개월여 앞으로 바짝 다가왔지만, 지방의회 선거구 획정은 여전히 안개 속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도의원과 시군 의원 출마예상자들은 대선 이후로 미뤄졌던 국회 정개특위의 재가동에 따른 선거구 획정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밤잠을 설치고 있다.  예비후보들의 불평은 정개특위가 지난 14일 정개특위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활동과 울진의 대규모 산불 등으로 잠정 연기됐다는 변명만 늘어놓고 있다고 비난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당초 국회에 18일까지 선거구 획정을 끝내 달라고 요청한 바 있지만 여태까지 미루고 있다. 정개특위가 열리지 않은 대선기간 동안 여·야 뿐만 아니라 행안부를 중심으로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 1, 2, 3안을 준비했다. 정개특위가 속개되면 통과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상황이 불투명해지면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정치권은 현재 다당제를 염두에 둔 중대선거구제(선거구당 2~4인 선출)로의 전면 전환과 함께 도시 농촌간 인구 편차(현재 4대1)를 더 줄여 인구 비례성을 높일지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도의원까지 중대선거구제로 전환한다면 지방의회의 단위별 선거구역은 대폭 늘어난다. 선거운동 지역이 넓어진다는 의미다. 인구 편차의 경우 자칫하면 없어지거나 폐지되는 선거구가 속출할 수 있다. 4대1 편차를 3대 1로 줄일 경우 선거구역이 전면 조정될 수 있다. 인구가 줄고 있는 농촌 지역은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 선거구가 통폐합 될 수 있다. 결국 국회 정개특위가 어떠한 결정을 하느냐에 따라 지방선거의 구도가 대폭 변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정개특위가 미뤄진 데다, 여·야간 관심사가 다르고 상대 정당의 주장에 서로 부정적인 탓에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평소 다당제를 위한 정치적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안철수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이 인수위를 통해 어떤 의견을 내느냐도 향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가변적이다 보니 빠른 시일 내 선거구 획정을 마무리 짓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광역·기초의원 출마를 준비 중인 지방선거 주자들의 입장은 당장 결론을 내야 한다. 선거구 획정이 늦어 예비후보 등록과 공약 발굴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는 불평이다. 문제는 6·1 지방선거가 예비후보자 등록과 함께 막을 올렸지만 여기저기서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은 또다시 '깜깜이 선거'를 치르게 생겼기 때문일 것이다.  국회 정개특위는 선거구획정을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정개특위 대신 선거구 획정을 전담할 상설기구를 별도로 구성해서라도 법정시한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치개혁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