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Y2010 보험산업은 성장모멘텀 부재로 회복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각 보험사들은 경기상황에 크게 의존하는 타성적 성장구조를 탈피,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즉, 과거와 같은 특정상품 위주의 성장패턴에서 벗어나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는 서비스중심의 성장 전략으로 전환해야한다는 것.
23일 보험연구원은 'FY2010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를 통해 내년도 보험산업은 경제여건의 점진적 개선으로 보험산업도 점차 가시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나, 뚜렷한 성장모멘텀의 부재로 FY2009 2.8%에 이어 FY2010에도 6.8%의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생명보험의 경우 금융위기로 인한 해약 증대와 변액보험의 침체지속으로 FY2009 -2.5%의 감소세를 보일 것이나, FY2010에는 금융시장 안정과 경기회복에 따른 변액보험의 완만한 회복, 연금시장의 확대, 보장성 보험의 수요증대 등에 힘입어 3.8%의 플러스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손해보험도 실손의료보험의 신계약 급증으로 FY2009 13.2%의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시현할 것으로 예상되며, FY2010에도 계속보험료에 바탕을 둔 장기손해보험의 지속적인 보험료 유입, 경기회복에 따른 일반손해보험의 성장, 자동차보험의 보험료 인상 요인 등이 작용해 11.8%의 성장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진면 보험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보험사들이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중심의 성장전략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꾀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고객 라이프 사이클에 맞춘 리스크 관리 서비스의 제공과 다양한 금융서비스의 확대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험산업의 사회적 신뢰성 제고와 고수익 추구보다는 리스크 및 자기자본 관리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험연구원은 24일 오전 7시30분부터 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FY2010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로 보험경영인 조찬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