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외교부 장관으로 입각이 유력한 박진 '한미정책협의 대표단' 단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친서를 전달하기 위해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을 만나러 갔다. 박 단장은 3일 워싱턴DC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현지 특파원들과 질의응답 했다.
대표단의 방미 시점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로 한반도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양국 간 공조 필요성이 커진 것과도 무관치 않다. 대표단은 양국 동맹 관계 강화와 대북 정책조율에 주안점을 두고 미국 측과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 시기 등 구체적인 협의 결과가 나올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대표단을 이끌게 된 4선의 박 의원은 외무부 출신으로, 한미의원외교협의회 부회장,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국회의 대표적인 외교통으로 꼽힌다. 2008년 8월 한미의원외교협의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해 당시 상원 외교위원장이었던 바이든 대통령과 독대해 차담을 나누면서 한미동맹을 다진 외교통이다.
박진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 단장 파견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출범 전 미국과 한미 관계 및 대북정책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대표단 미국 방문단은 한미동맹을 정상화하고 양국관계를 튼튼한 기반 위에 올려놓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꾸려졌다. 박진 단장은 백악관과 국무부 등 조 바이든 행정부 당국자들과 의회, 싱크탱크 전문가들을 만나 한미동맹과 대북정책 등 양국 간 현안을 두루 논의할 예정이다. 미국 측은 한국의 신정부에 대해 미국 측이 상당한 기대를 갖고 있다. 이번 기회에 허심탄회하게 양국 간 공통의 국익을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 한반도 안보 상황은 북한의 ICBM 도발로 엄중하다. 미국의 안보 공약을 확인하고 한미동맹을 포괄적인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심도 깊게 논의해야 한다. 한미가 동맹으로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지역과 글로벌한 문제에 대해 협력해야 할 현안이 많다. 포괄적인 전략 동맹을 다질 수 있는 주제를 놓고 실질적인 협의의 필요성이 당선인 메시지에도 담겨있다. 새 정부의 대북정책은 원칙을 지키되 대북 지원이나 경제협력 가능성은 열어놓을 방침이다. 원칙 있게 상식이 통하는 남북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이 만약 비핵화에 실질적으로 나서면 경제 협력 등으로 인센티브도 염두에 둘수 있다는 계획이다.
바이든 행정부와 윤 당선인 대북정책의 공통점으로는 북한의 비핵화이다. 구체적인 대북정책 로드맵과 북한이 어떤 조처를 해야 할 것인지도 논의해야 한다. '톱 다운' 방식이 아닌 '바텀 업' 방식의 대북 접근법도 바이든 정부와 윤석열 정부의 공통분모로 꼽았다. 북핵 문제는 정상들이 위에서 갑자기 결정한다고 문제가 풀리는 그런 건 아니다. 현실적이고 검증 가능한 로드맵을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상회담이 이루어지는 것이 순리라고 박 단장은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만나는 한미 정상회담도 조율 중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 달 미·일·호주·인도 4국 안보협의체인 쿼드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단장의 방미성과가 기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