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콘 버튼 하나만 누르면 모든 영상이 3차원(3D) 입체로 '트랜스폼' 한다. SK텔레콤은 어떤 영상이라도 3D 영상으로 변환 재생해주는 '실시간 3D입체화 기술'을 중소 벤처기업들과 공동 개발하고, 내년 상반기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실시간 3D입체화 기술'은 평면영상으로 제작된 영화·드라마 등을 3D입체 영상으로 변환해 시청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최첨단 기술로, 시청자들이 느끼지 못하는 짧은 시간 안에 평면영상의 공간·색깔·움직임 등을 실시간 분석해 가상의 입체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입체안경을 착용한 시청자들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교차 전달하여 입체감을 형성한다. SK텔레콤은 TV에서 나오는 모든 영상을 3D로 변환해주는 핵심 보드 개발에 성공, 이 기술을 통해 풀HD(1080p)급 영상을 끊김없이 3D입체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품질도 3D전용으로 제작된 콘텐츠에 비해 손색이 없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현재 '실시간 3D입체화 기술'은 올해부터 보급되기 시작한 3D재생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TV, 노트북 등)를 통해서만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SK텔레콤은 내년 상반기에 칩 형태 제품의 개발이 완료되면 TV, IPTV, 휴대폰, 컴퓨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방송국의 방송송출장비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 평면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변환해 '실시간 3D방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입체안경만 있으면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TV보듯 쉽게 3D영상을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미국 헐리우드를 중심으로 매년 3D입체 영화가 제작되고, 국내외 대형 가전업체들이 앞다퉈 3D TV 출시 계획을 발표하는 등 3D분야는 차세대 미디어 산업의 핵심으로 주목 받고 있다"며 "그러나 막대한 제작비용과 시간의 부담 등으로 기대에 비해 성장이 더뎌왔다"고 말했다. 이어 "SK텔레콤은 모든 영상을 3D입체 영상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통해 3D콘텐츠 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발상을 전환했다"며 "풍부한 콘텐츠 확보를 바탕으로 3D 재생장비 보급 및 방송 채널 확대가 이뤄지면 국내 3D미디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K텔레콤은 내년 중 TV·휴대폰·컴퓨터 등에 내장할 수 있는 핵심 칩, 각종 미디어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셋톱 박스, 방송송출 장비에 장착하는 보드형 제품을 모두 상용화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글로벌 가전업체, 미디어 업체에 3D 미디어 솔루션을 수출해 수익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설원희 SK텔레콤 미디어& 퓨처사업부문장은 "'실시간 3D입체화 기술'로 확보되는 풍족한 3D 콘텐츠를 바탕으로 3D미디어 기기·방송 시장도 동반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SK텔레콤과 벤처기업들이 힘을 모아 만든 기술이 한국의 미디어 산업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