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구조조정 대상기업중 D등급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은 소폭 감소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이 여신규모 10억~30억 원 외감 및 30억 원 이상 비외감 중소기업 1842개사를 대상으로 3차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한 결과 C등급 106개사, D등급 119개사로 총 225개사(12.2%)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 2차 평가와 비교할 때 C등급은 108개사에서 106개사로 2개사가 줄었으나 D등급은 66개사에서 119개사로 2배정도 늘었다. 3차 구조조정 대상기업(C·D등급)에 대한 은행권 여신규모는 1조9000억 원이며, 충당금 추가적립 필요액은 약 2992억 원으로 추정된다. 11월30일 현재 1, 2차 신용위험평가결과 C등급으로 선정된 185개사 중 96개사에 대해 워크아웃이 개시됐다. 워크아웃 방식별로는 사전공동관리 45개사(47%), 단독관리 37개사(38%), 공동관리 14개사(15%) 순이었다. 채권은행은 워크아웃 개시업체에 대해 총 5889억 원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3차 평가결과 C등급 106개사도 향후 실사 및 약정체결 등을 거쳐 워크아웃 추진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중소기업에 대한 상시적 신용위험평가시스템을 구축, 운영해 채권은행 자율에 의한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신용위험평가 결과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된 업체에 대해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