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셔터안경방식(능동형) 3D LED TV를 출시했다. 올해 200만 대 이상의 판매고를 올려, 초기 3D TV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각오다.
삼성전자는 25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세계 최초 풀 HD 3D LED TV 신제품 발표회'를 열고, 국내시장을 시작으로 능동형의 46인치와 55인치 3D LED TV 7000, 8000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중으로는 TV 전체 두께가 10㎜도 안 되는 '레이저 슬림' 디자인의 스페셜 프리미엄 9000 시리즈를 출시할 계획이다.
윤부근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업계 최초로 3D LED TV를 선보이면서 차원이 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난해 LED TV 시장을 창출한 데 이어 올해에도 차별화된 풀HD 3D TV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출고가(스탠드형 기준)는 7000 시리즈 46인치와 55인치가 420만 원대, 580만 원대이며, 8000 시리즈는 46인치와 55인치가 각각 450만 원대, 610만 원대다.
3D 안경의 경우 별도로 구매를 해야 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산학 협동으로 기존제품 대비 60% 가볍고 착용감이 좋은 안경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충전방식으로 구동되며, 전자적으로 제어된다.
능동형 방식인 덕에 2D 영상을 3D로 변환해서 볼 수 있다. 이번 제품의 경우 리모콘 버튼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3D 화질은 편광안경방식(수동형)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 발표된 제품은 3D 전용 패널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독자 개발한 '3D 하이퍼리얼 엔진'을 장착했다. 3D 하이퍼리얼 엔진이란 색상과 명암, 움직임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삼성전자만의 핵심 기술이다. "그 덕에 생동감 넘치는 입체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또 스피드 백라이트 기술을 통해 영상 소스에 따라 변화하는 LED 광원 밝기조절 속도를 기존보다 2배 이상 향상시켰다.
삼성전자는 3D 전용 패널과 3D 하이퍼리얼 엔진, 스피드 백라이트 등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화질 기준을 제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패널 구동속도인 헤르츠(㎐)만으로는 3D TV 화질 수준을 나타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제시한 'CMR(Clear Motion Rate)'은 동영상 선명도를 의미한다. 일반 60㎐ 화질을 기준으로 몇 배의 고화질 동영상이 가능한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다. 이번 C8000 시리즈는 기존 60㎐의 16배 동영상 선명도를 보여 960 CMR로 명명됐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셔터안경방식(능동형)을 적용, 시야각 제약이 없어 정면 뿐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 TV 시청이 가능해 여럿이 함께 장시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3D 솔루션도 구축했다. 3D TV 뿐만 아니라 3D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3D 홈시어터, 3D 콘텐츠, 3D 안경 등을 총망라한 것. 특히 3D 콘텐츠의 세계적 애니메이션 제작사 '드림웍스'와 제휴를 맺었다.
(사진설명)=25일 오전 삼성전자가 서울 서초사옥에서 세계 최초 '풀 HD 3D LED TV' 신제품 발표회를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