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1년 11월 28일 착공된 새만금방조제가 20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장태평)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홍문표)는 27일 오후 2시 새만금방조제 중간정도의 위치인 전북 군산 신시도 일원에서 준공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은 ‘대한민국을 품고, 세계를 향해 날다’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세계 최장(33km) 명품 방조제의 완성을 선포하는 자리이다. 더불어 국가의 미래성장 동력인 새만금이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본격 도약함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는 행사가 될 예정이다. 이번 준공식과 동시에 그동안 공사 진행으로 인해 일반인들의 통행을 제한하였던 방조제 도로(군산~부안)도 국민들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방조제 도로를 개통하면 군산에서 부안까지 이동거리를 약 50km단축하며, 왕래시간은 1시간 이상 줄어든다. 이번에 준공되는 새만금 방조제는 설계에서 준공까지 모두 순수 우리 기술로 이루어내었다. 또한 새만금 방조제는 세계 유례가 없는 최고 난이도의 심해 공사를 국내기술력으로 성공시켜 우리나라가 방조제 축조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새만금 방조제는 조석간만의 차가 가장 큰 대조시 최대유속이 초당 7m에 달하고, 평균수심 34m 최대 수심이 54m가 넘는 심해 공사로 간척사업 역사상 가장 악조건 하에서 성공적으로 시공됐다. 길이도 그동안 세계에서 가장 긴 네덜란드 쥬다찌 방조제 32.5km 보다 1.4km 긴 33.9km로 곧 기네스북에도 등재될 예정이다. 새만금방조제는 모두 2조 9천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서 연간 237만 명의 인력과 덤프, 준설선 등 91만 대의 건설장비가 동원됐다. 또한 방조제 건설에 투입된 토석(土石)은 총 1억2,300만㎥으로 경부고속도로 4차선(418km)을 13m 높이로 쌓을 수 있는 수준으로 규모면에서도 많은 화제를 낳기도 했다. 이번 새만금방조제 완공으로 국토의 면적이 넓어졌다. 실제로 새만금 사업의 1단계인 외곽공사가 마무리됨으로서 서울시 면적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40,100ha 규모의 국토가 확장됐다. 이번 방조제 준공식에는 국내외 인사, 관련기관, 학계, 지역주민 등2,000여명을 초청하였으며, 주한 외교사절 및 해외인사들도 함께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글로벌 명품’ 새만금에 대한 투자유치의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손중모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