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김반석)이 유럽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LG화학은 최근 볼보자동차가 추진 중인 '미래형 전기차 프로그램'에 적용될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공급은 배터리 셀(Cell)뿐만 아니라 배터리 제어시스템(BMS) 등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된 토털 팩(Pack)형태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이미 현대기아차, GM, 장안기차 등의 고객사 확보를 통해 국내와 미국, 중국에 이어 유럽에도 본격 진출하게 됐다. 현재 볼보는 스웨덴을 비롯해 영국, 독일 등을 중심으로 연간 30만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유럽의 명품 자동차 시장에도 진출하게 되어 우리의 배터리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인정받았다"며 "명실 공히 미국, 중국, 유럽이라는 세계 3대 자동차 시장 모두를 우리의 사업기반으로 구축하게 되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들과 실질적인 납품 계약을 맺고 대량생산체제에 돌입한 배터리 업체는 LG화학이 유일한만큼 지속적인 R&D투자와 공급처 확보로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욱 벌려 세계 1위 지위를 확고히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은 지금까지 현대기아차, GM, 장안기차, 볼보 등 총 6곳의 글로벌 고객사와의 공급계약을 발표했다. 올해 안에 4개 이상의 계약을 추가적으로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LG화학은 올해 총 400여명의 연구개발(R&D) 인력을 채용할 예정이다. 특히 차세대 배터리 관련 R&D분야에는 5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안정적인 공급 대응력을 갖추기 위해 국내외 현지 공장 건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충북 오창산업단지에 위치한 오창테크노파크에 2013년까지 총 1조 원을 투자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생산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우선 현대차, 미국 GM, 이튼(Eaton) 등에 물량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함께 미국 미시건주 디트로이트 현지에는 약 3억 달러를 투자,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준으로 약 25만대 분량의 배터리 셀(Cell)을 공급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해 2012년부터 첫 상업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