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자력본부와 함께하는 동경주 구석구석 오늘은 경주 두산리 명주마을에 찾아갑니다. 실크로드 동쪽 경주, 비단길의 끝 경주. 섬유의 여왕으로 불리는 명주를 손으로 직접 짜며 전통과 명맥을 이어가는 마을이 있습니다. 바로 경주시 문무대왕면 명주길 두산리입니다.두산리는 문무대왕면 면사무소 소재지에서 감은사지와 문무대왕 수중릉이 있는 동해안 방향으로 흐르는 대종천을 따라 2~3km 가다 보면 나오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입니다. 특이한 것은 이 마을로 들어오는 2차선 도로의 가로수가 뽕나무여서 전국 어디서도 쉽게 볼 수 없는 이색적인 풍경을 자랑합니다.경주명주전시관이 위치해 있는 두산리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전국 유일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손 명주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대량으로 생산되는 질 좋은 섬유의 홍수 속에 우리 여인네 손끝으로 탄생하는 결 고운 전통 명주는 그 값어치를 따질 수 없습니다. 그 명맥을 우리 경주의 여인네들이 잇고 있습니다. 두산마을 할머니들은 생산량도 많고 품질도 월등한 기계로 명주를 짜는 대신, 전통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두산리에는 전국 유일의 손명주 생산마을이란 자부심을 가지고 60~80대 13명의 이 마을 할머니들이 전통방식을 고수하며 손명주를 짜고 있습니다. 13명 중 90대 한 명, 80대 네 명, 70대 세 명, 60대가 다섯 명으로 대부분 40~60년 경력을 자랑합니다. 이들 중 94세의 이수봉 장인이 현역 최고령자입니다. 이곳 장인들은 한평생 대부분을 손 명주 짜기에 바친 이들로,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배웠거나 이 마을로 시집와서 수십 년간 명주짜기를 해온 전문가들입니다.지난 2002년부터는 개별적으로 길쌈을 해오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두산손명주연구회’로 작업을 이어오다가 2017년 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제87호 ‘명주짜기’ 보유단체로 인정받았습니다. 전국 유일의 손명주 생산지 두산마을 할머니들이 명주짜기의 전통기법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활동을 꾸준히 이어온 것을 국가가 인정했기 때문입니다.2010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경주시전통명주전시관은 현재 두산마을 할머니들이 베틀 시연을 보여주는 ‘명주작업관’, 명주 원사에 빛깔 고운 천연 염색을 하는 ‘명주염색관’, 양잠과 실크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명주전시관’ 등 3동의 한식골기와 건물이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 인근에는 953㎡의 뽕밭도 조성돼 있습니다.한 필의 명주 천이 나오기까지는 모든 전 공정이 까다롭고 정성이 많이 필요한 전통 수작업으로 이뤄집니다. 누에치기를 시작으로 ‘실뽑기’, ‘실내리기’, ‘베날기’, ‘바디 실꿰기’, ‘베메기’, ‘꾸리 감기’, ‘베짜기’, ‘푸세하기’의 여러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지 전통 명주 한 필을 짤 수 있습니다.두산리의 뽕나무부터 누에를 거쳐 베틀에 올려지는 명주실은 모두 경주산입니다. 두산리에서 생산되는 누에고치는 물론, 경주 서면에서 양잠 하는 농가와 계약 재배를 통해 생산되는 누에고치를 전량 구매해 명주실을 뽑아낸다고 합니다.두산리 명주마을은 월성원자력홍보관에서 동쪽으로 12㎞ 떨어져 있습니다. 약 18분이 소요됩니다. 양남면 나산리와 상라리를 지나는 호젓한 시골길을 따라 닿을 수도 있고 대본리 문무대왕수중릉을 지나 잘 닦인 도로를 따라 가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는 ㈜한수원 월성원자력본부와 함께 합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