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KEPCO)는 3일 서울 강남구 한전 본사에서 포스코와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용 소재 국산화 개발에 공동 협력키로 하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이에 따라 원전 건설에 사용되는 주요 기자재의 핵심소재에 대한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78년 고리원전 1호기를 가동한 이래 1990년대 말 대부분의 원전기술을 개발하는 등 세계적 수준의 원전건설 및 운영기술을 확보했지만 현재 원전설비에 쓰이는 주요 소재 부문의 국산화율은 약 76%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원전건설에 사용되는 일부 핵심부품 소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전 세계적으로 원전건설 수요가 급증할 경우 주요핵심부품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전은 이를 통해 향후 원전 2기 건설을 기준으로 연간 약 200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핵심부품소재의 국산화율 역시 현재 76%에서 향후 90%까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전은 지난 40년간 원전사업 운영을 통해 확보한 국내외의 네트워크 및 국산소재의 개발 관련 제반 지식을 제공하고 포스코는 원전용 희귀자원 확보 및 핵심소재 개발사업을 담당할 예정이다. 양사는 구체적인 실행방안 마련을 위한 공동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국내외의 주요 관련사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올해 말까지 구체적 소재 국산화 사업개발 마스터 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한전과 포스코는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세계 원전시장에서 중장기적으로 한국 원전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며 "기계, 금속 등 소재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