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청년인턴제의 인턴기간을 줄여 정규직 전환이 빨리 이뤄지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의 정규직 전환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어 인턴기간을 6개월에서 3개월로 줄여 고용불안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며 "정부의 인건비 지원도 '인턴기간 6개월+정규직 전환후 6개월' 방식에서 '인턴기간 3개월+정규직 전환후 9개월'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는 15~29세 미취업 청년이 중소기업에 인턴으로 취업하면 정부가 인턴기간 6개월간 임금의 50%를 최대 80만 원까지 지원하고, 인턴종료후 정규직으로 전환될 경우 월 65만 원씩 6개월간 추가 지원하는 제도다.
실제 대한상의가 청년인턴제를 통해 인력을 채용했던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대한 기업의견' 결과에 따르면, 69.4%의 기업이 이같은 인턴기간 축소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3개월 정도만 지켜보면 정규직 채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도 6개월의 기간을 둔다는 것은 심리적 불안만 높인다"라며 "이렇게 되면 정부의 예산절감 효과도 135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는 청년실업 해소와 중소기업의 구인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정책으로 평가된다"며 "정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를 좀 더 보완하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은 물론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