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8년에는 취업자 수가 2565만9000명, 고용률은 60.2%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전문대와 대학졸업자가 연간 4만5000명 초과 공급이 발생하는 등 대학구조정이 시급한 것으로 전망됐다.
기획재정부와 노동부 등 관계부처는 12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 '제5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2008~2018년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및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008년 2357만7000명에서 매년 평균 20만800명(0.8%)씩 증가해 2018년에는 2565만9000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고용률도 2008년 59.5%에서 2018년에는 0.7%포인트 상승한 60.2%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기업관리업무의 아웃소싱 확산과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 등에 따라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8.3%), 사회복지서비스업(7.4%), 통신업(6.7%) 등의 취업자가 큰 폭으로 증가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통제조업 퇴조와 농업인구 감소 등의 추세가 지속되면서 의복 관련 제조업(-9.7%), 섬유제품 제조업(-7.1%), 농업(-2.9%) 등에서 취업자가 큰 폭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직업별로는 복지, 가사, 의료서비스 수요가 늘고 금융과 보험업의 성장에 따라 사회복지 및 상담 전문가(4.9%), 통신 및 방송 장비기사와 설치 수리원(4.4%), 금융·보험 관련 전문가(4.2%) 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산업고도화와 인터넷 쇼핑 증가, 경제의 서비스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재단, 재봉 및 관련 기능 종사자는 5.5% 감소하고 작물재배 종사자와 판매원 및 상품대여원도 각각 2.3%와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2008년 49.9%에서 2018년 51.7%로 1.8%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 기간 30~34세 여성의 경력단절이 점차 감소세를 보이면서 경제활동참가율이 53.2%에서 60.3%로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밖에도 전문대와 대학 졸업자도 연간 4만5000명 초과 공급돼 인력수급 미스캐치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2차 베이비붐의 영향으로 2016년까지는 고교 졸업자가 대학입학정원보다 많은 상태를 유지하겠지만 이후에는 학령인구가 급감하면서 2023년에는 고교졸업자가 대학 입학정원보다 20만명 가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따라 전문대 및 대졸 인력 공급이 수요를 초과, 정보·통신, 언론·방송 등의 계열은 15% 이상 초과공급이 발생하는 반면 대학원 인력도은 의약계열과 전산 등에서 15% 이상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노동력의 고령화와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구조 심화 등으로 인력수급 미스매치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고용률 제고와 일자리중개기능 강화 등의 노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대학의 통폐합 등을 통해 초과 공급되는 대졸 인력을 조정하겠다"며 "국립대학은 대학간 통폐합 또는 법인화를 유도하고 사립대학은 경영부실 대학을 통폐합하거나 퇴출하는 등 단계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