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12일 유럽발 재정위기가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단계별 대응계획(Contigency Plan)'을 사전에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 김주현 사무처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번 유럽지역 지원방안 집행과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들의 자구노력 여부에 따라 향후 불안요인은 상존한다"고 진단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비상금융통합상황실'을 통해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은행권 외화차입과 차환동향, 주식·채권시장의 외국인 자금 유출입 동향을 매일 점검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금융회사와 비상금융통합상황실간 구축된 외환 핫라인을 본격 가동키로 했다.
또 필요할 경우 기획재정부 및 한국은행 등과 관계기관과 공조해 적기에 대응하고, G-20를 통해 국제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금융시장의 취약요인을 재점검키로 했다.
김 사무처장은 "이번주 들어 국내외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회복하는 등 현재까지 상황을 고려하면 우리 금융시장의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비교해도 외환 및 금융회사의 건전성이 양호하여 충격 흡수능력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외환보유액은 2008년 말 2012억 달러에서 올해 4월 2780억 달러로 늘었고, 단기외채 및 외환보유액은 2008년 말 74.5%에서 3월 말 56.4%로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