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문화체육관광부가 ‘3D 콘텐츠 산업육성 계획’을 밝혔다. 관계 부처들과 함께 지난달 8일 발표한 ‘3D 산업 발전전략’의 후속조치다.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았다.
2015년까지 영상 콘텐츠의 20%를 3D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3D콘텐츠 기반 구축 ▲3D콘텐츠 제작 활성화 ▲기술개발 역량강화 ▲글로벌 시장진출 확대 등 4대 중점 전략과제를 설정했다. 4100억 원을 투입, 3D콘텐츠 산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우선, 단기적으로 영세한 중소 콘텐츠 기업이 개별적으로 갖추기 어려운 고가의 3D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을 위해 2013년까지 2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3D 제작스튜디오, 영화진흥위원회에 3D영화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원스톱 3D콘텐츠 제작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3D와 CG 콘텐츠 관련 제작-R&D-인력양성-엔터테인먼트 기능이 집적된 문화산업 클러스터 형태로 구축한다.
특히, 제작현장에서 시급한 3D콘텐츠 제작인력을 단기간에 집중 양성하기 위해 콘텐츠진흥원에 S&G(Stereoscopy & Graphics) 트레이닝센터를 개설한다. 또 영진위 아카데미에서 3D기술연력 양성과정을 운영해 매년 2000여명의 인력을 양성해 나갈 계획이다.
초기 자금조달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모태펀드 250억원, 민간 750억원 등 1000억원 규모의 3D콘텐츠 전문펀드도 조성한다. 아울러 영화와 방송, 게임, 응용분야의 시장 선도형 콘텐츠를 발굴해 기획에서 해외수출까지 매년 12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3D핵심 기술개발에도 투자가 이뤄진다. 초고해상도·대규모 영상처리, 다시점 3D영상, 3D자동변화 기술 등 3D 콘텐츠 기반기술 개발에 2015년까지 1200억원을 투입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현재의 3~5년에서 1~2년으로 좁힐 작정이다. 차세대 영상시장을 주도할 5감 체험형과 홀로그램 기술개발에도 450억원이 책정됐다.
3D 보급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시각 피로감 등 유해요인을 해결하는 휴먼팩터 연구를 추진하고 시청·제작·시설 가인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문화부는 “우리나라는 세계를 선도하는 3D TV에 비해 3D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인력과 기술, 투자 등 기초 인프라는 취약해 국내 시장을 외국콘텐츠가 장악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3D콘텐츠 산업 육성계획을 수립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을 통해 2015년까지 2조5000억원의 시장과 1만5000여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